'민원인이 두려워 이중, 삼중으로 통제하나'.

최근 경기도교육청을 방문한 민원인 A(45)씨는 담당 부서에 들어가기까지 힘들고 불쾌했다. 승용차를 타고 온 A씨는 도교육청 정문에 설치한 차량통제 바리케이드에서 경비용역 직원에게 '무슨일로 왔는지'를 설명한 뒤 주차장에 진입할 수 있었다.

주차공간을 찾지 못해 10여분을 헤맸던 A씨는 결국 정문 밖으로 나와 불법주차를 하고 걸어서 본관 건물에 들어섰다. 하지만 A씨는 현관 안내데스크 직원들에게 또다시 제지당했다.

안내 직원들은 "무슨 일로, 누구를 만나러 오셨냐"고 물었지만, A씨는 '잡상인' 취급을 받는 것 같아 불쾌했다. 도교육청 도착부터 담당 사무실에 들어서기까지 무려 20분이 넘게 걸렸다.

도교육청에 근무하는 직원 B(40)씨는 사무실에 있으면, 가슴이 갑갑해지고 불안해지는 증세가 종종 나타나곤 한다.

B씨는 도교육청이 건물내 중앙현관을 제외한 보조출입문을 모두 잠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부터 이같은 증세가 나타났다.

A씨는 약국에서 폐소 공포증이 의심된다는 말을 들었지만, 진료기록이 남는 정신과 상담은 받지 않고 있다.
B씨는 "모든 문이 굳게 닫히고, 주 출입문까지 통행을 제한하면서 건물에 갇힌듯 답답하다는 직원들이 종종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도교육청의 이중 통제시스템으로 민원인과 직원들의 불편과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난 2012년 청사방호를 위해 건물 현관 출입제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해 9월에는 민원인 주차공간 확보와 차량5부제 시행 등을 이유로 정문 주차관제 시스템을 설치했다.

그러나 민원인 주차장은 여전히 부족한데다 지난주 민원인 3명이 부교육감실을 일시 점거하는 등 이같은 통제가 실효를 보지 못하면서 민원인들의 문턱만 높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청사방호와 차량 5부제 시행 등 정부방침에 맞춰 출입제한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라며 "잡상인 출입제한 등 실질적인 효과는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대현·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