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이례적으로 장학관 이상 교육전문직 전원을 대상으로 교원(교장) 전직 희망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토록해 교원들이 초긴장하고 있다.

도교육청의 이같은 조치로 교원들 사이에서 "신임 교육감 취임으로 간부급 교원 전원이 교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초중등 교육전문직원(장학교육연구관 이상) 교원 전직 내신서 제출'이란 제목의 공문을 도교육청과 지역 교육지원청 관련부서에 지난달 30일자로 시행했다.

제목조차 생소한 이 공문은 장학관급 이상의 전문직을 대상으로 교원(교장)으로 전직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것이다. 도교육청(지역 교육지원청 포함)내 장학관급 이상 전문직은 모두 131명이다.

도교육청은 공문을 통해 "9월1일자 정기인사 관련 주민직선 3기 교육정책 추진및 컨설팅 장학업무의 효율을 위해"라고 실시 이유를 설명했고, 4일까지 대상자 전원은 교원인사관에 관련 서류를 인편을 통해 제출토록 했다. 또 공문 맨 하단 기타 조항에는 '장학관이상 전보는 내신서 없이 전보할수 있다'고 명시했다.

공문이 시행된 후 교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장학관급 이상 전체 간부들을 대상으로 전직희망 여부를 묻는 것은 최초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장학관 이상 간부급이 교원으로 전직하는 것은 '문책성'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교원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눈치만 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교원들 사이에서는 도교육청이 밝힌 "신임 교육감이 추진하는 교육정책의 효율을 위해서"라는 실시 목적을 두고, "신임 교육감의 교육정책 상당수가 김상곤 전 교육감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간부급 책임자 전원을 인사 대상에 두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도교육청 내 한 간부급 인사는 "간부들에게 긴장을 하라는 것인지, 정말 전체 간부급 교원을 교체하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간부급은 물론 교원 전체가 술렁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새판을 짜면서 전체 간부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정책을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해서이다"고 말했다.

/김대현·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