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학교들이 급식 납품업체를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선정하면서 대금만 받아 가로채는 불량 납품업체의 '먹튀' 사기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최저가 입찰제는 품질과 업체의 경영상태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납품단가로만 업체를 선정해 학교 급식의 질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9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수원과 안산 지역의 학교 40여곳에 가공식품을 납품하던 J푸드 대표가 돌연 잠적했다.

J푸드는 납품업체 공개입찰에서 원가의 80%밖에 안 되는 납품가로 40여곳의 학교 입찰에 최종 낙찰됐다. 이후 학교측으로부터 3·4·5월 등 3개월치 납품대금 10억여원을 받아 챙긴 상태였다.

그러나 J푸드는 지난해 12월 한 초등학교로부터 납품사기 등으로 불량 업체로 지목돼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K푸드의 직원 김모(33)씨가 신규로 설립한 회사로, 현재 영업정지 중인 K푸드와 연계된 업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J푸드가 납품 사기를 위해 의도적으로 차린 업체일 것이란 의혹까지 받고 있다.

J푸드로부터 피해를 입은 A업체 관계자는 "싼 가격만 써 내면 아무 업체나 낙찰되는 방식 자체가 문제"라며 "1년에 한두 번꼴로 대금사기를 당하고 있는데 어떻게 먹고 살겠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안양 등지에서 채소류를 납품하던 C푸드도 낙찰을 위해 지나치게 낮은 입찰가를 써 최종 낙찰은 받았지만, 운영이 어려워지자 계약과 달리 값이 싼 물품을 납품하다 학교측으로부터 적발됐다.

하지만 해당 학교는 계약을 해지하면 급식 공급이 중단될 것을 우려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계속 저급재료를 납품받고 있다.

이처럼 도내 2천260개 학교 중 일부 소규모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가 지방계약법에 따라 최저가 입찰제로 납품업체를 선정하면서 '먹튀' 사기가 잇따르고 있는 데다 급식재료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급식 업체를 선정하면서 식재료의 질과 상관없이 단가만 보도록 하고 있는 방식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도 높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방계약법상 5천만원 이상 2억3천만원대 규모 이하의 납품계약은 최저가 입찰제를 통해 업체를 선정하도록 하고 있다"며 "문제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다른 방식을 적용할 경우 특정업체 몰아주기 등의 부작용도 있을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권준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