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선충병 방제시 발병했거나, 의심되는 소나무 등을 벌목한 후 소각 또는 약품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당수 현장에서 벌목 후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20일 도와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도는 지난 1월부터 4월말까지 '1차 재선충방제사업'을 위해 광주·용인·남양주 등 15개 지자체에 감염이 의심되는 소나무와 잣나무 5만2천200그루를 베어냈다.
이 과정에서 국비 96억원과 도비 10억원을 비롯 지자체별 예비비 수억원 등 1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다.
그러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상 잘려진 나무를 약품처리하거나 2㎝ 이하의 크기로 파쇄 또는 소각하도록 하고 있으나, 도내 곳곳의 방제 현장에는 벌목후 아무런 조치없이 쌓아 놓은 감염목 등이 그대로 방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벌목된 감염목에는 0.6~1㎜ 크기인 재선충이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는데다 벌목된 소나무 등은 재선충병을 옮기는 주범인 솔수염하늘소가 산란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돼 2차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최근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야산. 용인시가 올초 재선충병 감염목 761그루를 비롯 의심목 수천그루를 베어내 벌목한 잣나무 등이 곳곳에 쌓여 있다. 감염목을 쌓아둔 곳에서 100여m도 채 떨어지지 않은 곳에는 수백여그루의 잣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광주시 곤지암읍 봉현리의 한 야산도 사정은 마찬가지. 재선충병이 의심되는 소나무와 잣나무 2만5천여그루가 베어진 이곳에는 곳곳에 잘려진 소나무 등이 수십그루씩 쌓여있고, 멀지 않은 곳에는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어 2차 감염에 그대로 노출된 상황이다.
주민 이모(55)씨는 "재선충병의 특성상 베어놓고 쌓아두면 2차 감염이 당연한건데 공무원들은 뭣 하는지 모르겠다"고 항의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벌목업체에 방제작업은 물론 잔가지 처리까지 일임했는데 관리가 부족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권준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