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와 사회 곳곳의 안전사고, 사이버 해킹 등 이른바 디지털 재난까지 다양한 형태의 재난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빅파이 프로젝트' 등 민선 6기 경기도의 빅데이터 구축 계획이 각종 재난대응책과 맞물려 종합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개발연구원은 6일 '미래형 재난대응과 통합플랫폼 구축-빅데이터 프로젝트 실현에 활용'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재난에 대한 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안전이 사회적 화두가 됐지만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재난들을 통합 관리할 시스템이 없다는 얘기다.

연구보고서를 발표한 유영성 연구위원은 "세월호 참사에서만 봐도 재난사고에서 현장의 정보를 전달하고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초기대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앞으로는 기존 자연재해와 안전사고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미래형 재난'들이 상당수 생길텐데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걸맞은 시스템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선 6기 도정의 '빅파이 프로젝트'가 재난안전관리·일자리 창출과 다각도로 맞물린 '디지털 뉴딜'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게 유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빅파이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한 경기도형 빅데이터가 재난안전관리에 적극 활용되려면 이를 가능케할 인력과 연구단지 등이 필요한만큼, 도민들의 안전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판교테크노밸리에 도내 31개 시·군과 산하기관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난안전관리 빅데이터 센터를 설치, 이곳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한다는 주장이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