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김주성(새정치·수원2·사진) 교육위원장은 순해 보이는 인상과 달리 일처리만큼은 매섭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8대 도의회에서 민자도로 건설운영 검증 특별위원장을 맡았던 그는 혈세를 축내는 민자도로의 민낯을 들춰냈다. 이 때문에 요즘 경기 교육계는 기대반 긴장반이라는 후문이다. 11일 김 위원장을 만나 앞으로의 교육위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들어봤다.

김 위원장은 "도교육청은 한해 살림규모만 10조원이 넘는, 직원 수만 해도 10만5천100여명에 이르는 유기체 조직"이라며 "(교육위는) 보다 많은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들이 만족하는 길로 도교육청이 나아갈 수 있도록 비판과 견제라는 의회 본연의 역할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간 갈등의 핵심이었던 법정전출금 문제에 대해서는 "도가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통해 3천374억원을 우선 도교육청에 넘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행되면 두 기관 사이에 존재했던 갈등이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예산이 도교육청의 재정 건전성을 높이는데 제대로 쓰일 수 있도록 살펴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교육의 문제점 중 하나로 학생들의 낮은 학력수준이 지적되곤 한다. 그는 이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현장의 변화를 꼽았다.

김 위원장은 "성적이 학생 개개인을 나누는 절대 기준이 돼서는 안되지만 기본 소양으로서의 학력은 어느정도 갖춰야 한다고 본다"며 "학생들의 낮은 학력 수준은 최일선 교육현장인 교실에서 기인한 문제로, 해답은 현장에 있다. 현장을 잘 아는 교육 전문가들과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의 중심인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치유에도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18일 도의회에서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된 주요 지원 내용, 대책 등을 보고받는데 머리를 세게 얻어맞은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며 "안산 단원고 학생들과 학부모, 교사들만 생각하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고 말했다.

그는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안산 주민들의 치유를 위해 힘쓰겠지만 교육위는 교육위대로 단원고 구성원들이 고통을 승화시킬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계획"이라며 "또 이같은 참사의 재발방지 역시 우리 의원들의 사명이라고 본다. 안전 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의정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