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1>직장인 김모(46·여)씨는 최근 안양시에 위치해 있는 본인 소유의 토지에 대한 정확한 부동산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오전 시간 회사에 휴가를 내고 안양시청을 방문했다가 발길을 되돌려야 했다.

김씨가 알고자 하는 내용은 본인 소유의 토지가 위치한 지역의 재개발·재건축 여부와 정확한 주택의 면적, 향후 시의 사업계획, 이로 인한 주택값 상승 가능 여부 등으로, 안양시의 경우 팀 단위로 각 항목별 전담부서가 분산돼 일일이 확인하기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기 때문이다.

<사례2>성남 중원구 거주 최모(63)씨는 최근 답보상태에 빠진 지역내 재개발계획이 본격 추진된다는 소식을 듣고 서둘러 성남시청을 방문했다.

주민총회를 통해 대략적인 정보는 알았지만 세부적인 계획을 알고 싶어 성남시청을 방문, 한시간도 채 안돼 궁금했던 내용을 모두 파악했다. 재개발 계획을 비롯해 개별공시지가, 개발부담금 등이 모두 한 부서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다.

경기도내 재개발·재건축 등을 앞둔 지역주민들이 개발에 따른 지가 상승 등 구체적인 부동산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발품을 팔고 있다.

하지만 안양시의 경우 타 지자체와는 달리 부동산 정보를 확인할 부서들이 팀체제로 각 과에 분산돼 있어 시민들이 정보 습득에 혼선을 빚으면서 조직개편에 따른 전담과 신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50만 이상 인구를 보유한 도내 각 지자체 중 부동산 정보를 전담하는 과 체제의 부서가 없는 곳은 안양시뿐이다.

안양시의 경우 도시기본계획 관리를 위한 부서가 도시계획과내 도시계획팀으로, 재개발·재건축을 전담하는 부서는 도시개발과내 도시정비·주거정비·재개발·공공개발팀으로, 공공주택과 관련해서는 주택과내 공동주택정비·관리팀으로 각각 분산돼 있다.

이렇다보니 부동산 정보를 파악하고자하는 민원인들은 본청 5층에서 6층, 만안·동안구청을 오가며 발품을 팔아야 한다.

하지만 성남·수원·용인 등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경우 부동산 정보를 전담하는 부서를 별도로 신설, 과 체제(토지정보과)내 토지관리·지적·지적재조사·공간정보팀·공시지가팀을 두고 담당업무를 소화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내 대도시중 안양시만 지적재조사 사업을 추진할 담당과가 없어 각종 정책 추진이 지연되고 업무 협조에 애로사항이 많다. 지금이라도 50만 이상 인근 시와 같이 부동산정책을 유기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할 부서 신설이 시급하다"고 지적했고 시 관계자도 "부동산 정책을 담당해야 할 별도 부서가 하루빨리 신설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양/이석철·김종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