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협력을 위해 추진했던 경기도·경기도의회·경기도교육청의 3자회동이 '아군'간 싸움으로 무산(경인일보 9월1일자 2면 보도)된데 이어, 합의 불발의 책임소재를 두고 도의회와 도교육청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1일 도교육청은 '간담회 취소에 대한 입장'을 발표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에 책임을 통감한다"며 "심도있는 협의를 거쳐 뜻깊은 소통과 상생협력의 결과물을 도출해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해 나갈것"이라고 밝혔다.
같은날 강득구 도의회 의장도 기자회견을 열어 "도교육청이 학교지킴이 활성화 등을 합의문에서 배제하자는 의견을 냈고, 이런 내용을 빼면 의미가 없어 합의문 체결을 포기한 것"이라며 "합의문 내용은 4차례 회의를 거쳐 결정된 것인데 도교육청이 막판에 이견을 냈다"고 강조했다. 합의 무산의 책임을 도교육청에 물은 것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측은 "강 의장으로선 '같은 편'이라고 생각한 도교육청에 서운한 부분이 있겠지만, 실무부서의 검토가 덜돼 합의문에 넣기엔 부적절한 측면이 있었다"고 반박했다.
도의회와 도교육청 모두 "상생협력을 위한 노력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입을 모았지만, 이러한 상황속에서는 당분간 상생협력은 어려울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소통과 상생을 위한 시도가 갈등만 낳은 셈이다.
도의회 관계자는 "도교육청에서 실무부서 검토를 전제로 구체적인 내용을 넣기 어렵다는 입장이라면, 그런 검토가 끝나기 전에는 협의가 재개된다 해도 결국 같은 문제가 재연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고, 도교육청 관계자도 "빠른 시일내에 재개되긴 해야겠지만, 당장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김대현·강기정기자
상생은 커녕 갈등만 키운 3자회동(도·도의회·도교육청)
회동 무산 책임소재 공방
합의문 이견 재논의 안갯속
입력 2014-09-01 21:4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09-02 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