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의 민선 6기 첫 예산심의가 중턱을 넘어섰다. 25일 경기도에 이어 경기도교육청 1차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 들어선 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의 관심은 세월호 침몰 사고에 집중됐다.

도교육청은 세월호 사고 피해학생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달 안산교육회복지원단을 꾸리고, 추경예산 31억원을 편성했다.

김영환(새정치·고양7) 의원은 세월호 사고 내용과 대응책·후속조치 등을 면밀히 기록해 교육청 차원의 매뉴얼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양근서(안산6) 의원은 피해학생과 유가족을 위한 단발성 치유사업 외에, 안산 주민들과 유가족·피해학생간 갈등 해소 방안을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교육청 측은 "세월호 사고 백서를 제작중이다. 다만 단원고 1·3학년 학부모들은 2학년 피해 학생들의 교실을 정리해달라고 하고 유가족들은 그대로 둬달라고 하는 등 내부화합을 다지는 일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권미나(새·용인4) 의원은 안산지역 교사들과 피해학생의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힐링여행·방과후 학습 사업 등이 단순 여행·놀이로 흘러 치유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예산 부담 문제를 두고 시·도교육청과 교육부간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누리과정도 쟁점이 됐다. 조승현(새정치·김포1) 의원은 "부족분을 아예 편성하지 않는 것도 고민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도교육청의 열악한 곳간 사정으로 시·군과 매칭키로 했던 돈을 제때 부담하지 못해, 지난해에만 8개 학교에서 교육 관련 사업비를 불용처리했던 점 등도 도마에 올랐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