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의 한 고등학교 신입생 예비소집일이었던 지난달 26일 고교에 진학한 아들과 함께 학교에 다녀 온 김모(47·여)씨는 뜻밖의 사실을 접했다. 올해부터 교복을 학교에서 일괄적으로 구매키로 했다는 것이다.

김씨는 이 같은 사실을 몰라 이미 교복을 구입한 상태였지만, 환불을 해서라도 예외 없이 단체구매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 학교측 입장이다. 김씨는 "공동구매의 취지는 알겠지만, 지나치게 강제성을 둘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교복주관구매 실시 첫 해부터 미비한 홍보와 세부 지침 마련 부족 등 문제점으로 인해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일선 학교와 관리당국이 혼란을 겪고 있다.

6일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에 따르면 교육부의 교복가격 안정화 방안의 일환으로 지역내 국·공립 중·고교에 한해 올해부터 '교복주관구매'가 적용됐다. 각 학교는 입찰을 통해 선정된 업체와 단체계약을 맺고 교복을 일괄구매하며, 교복물려입기 등을 제외한 개별구매는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은 선택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학부모 박모(45·여)씨는 "아이들은 주구장창 교복만 입을텐데, 저렴한 것도 좋지만 좀 더 좋은 원단에 브랜드있는 제품을 사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개별구매를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는 뾰족한 대안이 없이, 원칙만을 앞세워 단체구매를 강요하는 것도 학교와 학부모간 갈등만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입찰에서 밀린 일부 교복업체들이 단체 구매보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학부모들을 유혹,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남양주의 한 교복업체는 평균 단체 구매가보다 1만원 가량 낮은 가격으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학교측에 단체구매를 취소하겠다는 학부모들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모든 학생들은 예외 없이 주관구매에 참여한다는 원칙은 변함이 없다"며 "첫 시행이다보니 어느 정도 혼란은 있지만, 교복가격부담을 줄인다는 좋은 취지로 학부모들을 이해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남양주/이종우·황성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