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나란히 새해 첫 조직개편에 나섰지만, 칼자루를 쥔 경기도의회와의 소통 문제가 변수로 떠올랐다. 도의회가 도의 조직개편안을 부결시켰던 두달전과 마찬가지로 "우리와 충분한 소통 없이 일을 추진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18일 다음달 말부터 이뤄지는 조직개편의 세부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도의회에서 부결됐던 재난안전본부 도지사 직속 편제·경제기획관 부활 등이 다시 한번 포함됐고, 연정 지원 기구 신설·도민 홍보 전담 부서 설치 등도 새롭게 제시됐다.
도는 19일부터 입법예고를 통해 조직개편안에 대한 도민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도교육청도 지난달 29일 북부청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오는 3월부터 실시할 조직개편안의 내용을 발표하고(경인일보 2014년 12월 30일자 22면 보도) 지난 12일까지 입법예고를 통해 의견을 모은 바 있다.
두 기관 모두 다음달 도의회 심의를 거쳐 차질없이 조직개편을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도의회의 반응은 비교적 싸늘하다. 도의회와 제대로 된 협의 없이 조직개편을 추진한다는 이유에서다.
도 조직개편안을 소관하는 기획재정위원회의 안혜영(새정치·수원8) 의원은 "도가 도의회와 이렇다할 논의도 하지 않은 채 조직개편을 추진해 부결됐던 게 불과 2개월 전인데, 입법예고를 코앞에 둔 지금까지 기재위 의원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다. 이런 식이라면 조직개편안을 수용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도교육청 조직개편안을 담당하는 교육위의 윤태길(새·하남1) 의원도 "입법예고 전 교육위 의원들의 의견을 묻는 과정은 없었다. 내용에도 이견이 많아 적절한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도에서는 도의회 야당의 요구사항과 다르게 연정 지원 기구가 '국'보다 한 단계 낮은 '과' 단위로 설치되는 점 등이, 도교육청에서는 학교인권지원과·과학직업교육과 등이 다른 부서와 통합되는 점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도 내부에서 내용이 확실히 결정된 후에 도의회와 협의하는 것이 나을 거라고 판단했다. 도의회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교육청 관계자도 "입법예고 후 도의회와 협의했다. 지속적으로 의견을 수렴해나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