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돌봄교실’이 시설부족으로 상당수의 맞벌이, 저소득계층 아이들을 수용하지 못해 물의(경인일보 3월4일자 22면 보도)를 빚는 가운데 교육부가 인건비 지원 없이 돌봄교실 대기인원을 수용하는 지침을 내리면서 시·도교육청과 일선 학교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6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초등돌봄교실 담당자를 불러 ‘초등 돌봄교실 실무진 회의’를 열어 초등돌봄교실에 신청한 기초생활수급가정·한부모 가정·조손 가정·맞벌이 가정 학생들은 모두 수용해달라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교육부가 돌봄교실 시설 확충비와 운영비만 지원하고 인건비는 시·도교육청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라고 요구하면서 일선 학교에서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인건비 지원이 없을 경우 돌봄교실 당 교사 1명이 담당하는 학생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안양의 한 학교는 1개 돌봄교실을 운영해 22명의 학생을 수용했지만 대기자를 모두 수용하게 되면 교사 1명이 50명의 학생을 돌봐야 한다.
인천 서구의 한 초등학교도 24명의 학생을 1개의 돌봄교실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했지만 대기 학생을 수용하면 30명이 넘는 학생을 한 돌봄 교실에서 돌봐야 한다.
한 돌봄교사는 “학생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해 안전사고라도 발생할 것 같아 걱정이 크다”며 “성인 1명이 초등학교 1~2학년 짜리 아이들을 30명 넘게 돌보는 것은 사실상 힘든 것 아니냐”고 푸념했다.
현재 경기지역 돌봄교실은 1천204개교에서 6만891명을 수용했지만 추가로 입소를 기다리는 대기학생 수는 1만3천명이다. 인천지역도 돌봄교실 242개교에서 1만456명을 수용하지만 대기학생 수는 1천87명이다.
이에 교육청과 일선 학교는 돌봄교실을 늘리는 방안도 고려하고 수요를 재조사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는 상황이다. 한 해 돌봄교실 운영비가 경기도 537억원, 인천 190억원으로 현상유지조차 힘든 상황에서 새로운 교사를 채용해 돌봄 교실을 늘리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교육부는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수업하는 교실을 겸용 교실로 활용하는 방안 등 학교장의 의지만 있으면 얼마든지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며 “한 학교당 4~5개 학급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수용이 가능한 숫자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주엽·김범수기자
속터지는 초등 돌봄교실… 교육부는 일단 밀어넣기
인건비 지원없이 대기학생 수용지침… 교육청 거센 반발
“교사 1명당 학생 30명이상 교육땐 질 저하” 교사는 한숨
입력 2015-03-18 22:5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3-19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