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문화예술단체
문화로놀이짱 / 문화사회연구소 / 뮤지션유니온 / 문화회관지부 / 서울변방연극제 / 시민자치문화센터 / 스포츠문화연구소 / 예술과도시사회연구소 / 예술인소셜유니온 /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서울지회 / 극단 서울괴담 / 생활기획공간 통 / 일상예술창작센터 / 좋은공연제작소 / 최소한의변화를위한사진가모임 / 테이크아웃드로잉 /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대구지회 / 서울연극협회 / 초암교육예술연구소 / 수원푸른교실&미술치료연구소 / 시드갤러리 / 카사노바 / 극단 성 / 목아박물관 박우택부관장 / 인천근대박물관 최웅규관장 / 경기도박물관협회장 안연민관장 / 경희대 미대 최병식교수 / 문화연대 / 수원민예총 / 강원민예총 / 경기민예총 / 경남민예총 / 광주민예총/ 대전민예총 / 부산민예총 / 울산민예총 / 인천민예총 / 제주민예총 / 충북민예총 / 옥상낙원DRP(Dongdaemun Rooftop Paradise)
▶시민사회단체
수원지역목회자연대 / 머리에 꽃 네트워크 / 다산인권센터 / 대안공간 눈 / 삶터 / 대안미디어 너머 /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 수원녹색당민주노총 / 수원환경운동연합 / 한벗지역사회연구소 / 참교육학부모회수원지부 / 나무늘보 읽기모임 / 대한성공회 / 수원나눔의집 / 남문청소년모임꾸나 / 노동당수원오산화성당원협의회 / 공공운수노조 세종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의 대기업 아파트 브랜드명칭 반대 여론이 지역예술계를 넘어 전국예술계로, 문화계에서 범 시민단체로 확산되고 있다.
27일 오후 1시 수원시청 정문에서 ‘수원 공공미술관 이름 바로잡기 네트워크(이하 수미네)’를 비롯한 지역 시민단체와 문화연대, 전국문화예술단체는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명칭 재논의를 촉구하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회견에서 미술관명칭 제정을 위한 수원시, 현대산업개발, 수원시의회, 시민사회의 토론 및 합의를 요청했다. 또한 수원시의회에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이름을 확정한 운영조례안의 제정 중단과 명칭 재논의를 촉구했다.
아울러 수원시의 불투명하고 일방적인 미술관 건립행정에 대한 시의회의 철저한 감사와 올바른 이름 제정을 위한 공청회 및 토론회 등 공론장 마련을 요구했다. 현대산업개발 측에도 “(아이파크) 명칭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수원시민 입장에서 명칭문제 논의과정에 적극 동참하라”고 주장했다.
지역시민단체와 전국문화예술단체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미술관명칭 문제는 과정이 투명하지 않았고, 시민의 의견수렴도 없이 염태영 수원시장의 독단적인 판단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밝히며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의 명칭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지난 3월 수원지역 17개 문화예술시민단체가 참여한 미술관명칭 반대 기자회견에 비해, 1개월 만에 전국에서 41개 문화예술단체가 동참해 58개 단체로 확산됐다. 또 미술분야를 넘어 예술창작·연극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단체가 ‘아이파크’명칭 사용 반대에 한 목소리를 냈다.
특히 전국단위 미술단체인 ‘한국민족예술인 총연합회(민예총)’는 서울을 제외한 10개 광역시 및 도 지부가 참여했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최준영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기업 상품명칭을 공공시설에 붙이는 것은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사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병욱 수원 경실련 간사는 “수원시립아이파크 입법조례안은 운영조례로 명칭을 확정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수미네와 문화예술단체 대표들은 기자회견 뒤 시의회 의장실과 시장실을 방문해 미술관명칭 재논의를 촉구하는 항의서한을 전달했으나 염태영 시장과 김진우 시의회의장은 자리를 비워 면담은 불발됐다. 이들은 수원시 미술관추진단에 미술관운영조례 반대의견서를 제출했다.
글·사진/유은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