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각급 학교의 초고속인터넷망을 설치·보급하는 사업자 선정을 4~5개월 앞두고 벌써부터 업체들 간에 ‘과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초·중·고교의 공공정보통신서비스(NIS)인 스쿨 넷의 사업규모가 100억 원이 넘으면서 업체들 간 과열 경쟁으로 자칫 사업의 부실화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 3월부터 5년간 학교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 선정이 오는 9~10월로 예정되면서 학교장과 정보교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 영업이 시작됐다.
최근 경기 서북부 지역의 초등학교에 ‘인터넷 통신 회선을 변경하면 PC·복사기 무상 점검 등 각종 혜택을 주겠다’는 홍보가 잇따르고 있다. 더욱이 도 교육청이 NIS 사업자를 학교별로 선정하도록 하면서 도내 2천300여개 학교의 정보교사, 행정실장, 교장 등을 대상으로 업계의 로비 역시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년 전에도 NIS 사업과 관련해 통신 3사는 학교와 계약한 지역 협력업체에 ‘유치 수수료’ 명목으로 건당 250만~3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설치비로 건당 100만원과 학교가 매월 내는 통신요금의 4~5%(1만5천~2만원)를 60개월간 유지보수비로 지원했다. 유치 수수료와 통신비를 계산하면 경기도 내 NIS 사업 규모는 100억원을 훌쩍 넘는다.
이 때문에 스쿨 넷 가입자 확보를 위한 지역 업체들의 로비가 치열해지면서 학교 관계자들에게 금품이 오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5년 전 스쿨넷 영업에 참여한 지역 업체 임원 A씨는 “50여개 지역 업체가 통신 3사와 계약을 맺고 2천300개 학교의 스쿨 넷 관계자 6천여명을 대상으로 영업을 했는데 정보 교사가 수업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며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학교측에 금품 제공은 물론 교장 등에게 사업권 선정 대가로 개인 노트북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전했다.
실제 당시 이와 같은 ‘진흙탕 수주 경쟁’이 빚어지자 도 교육청은 “수주를 대가로 하는 일체의 기부 행위 등은 사업자(협력사)의 과도한 출혈 경쟁으로 본 서비스 사업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각 학교에 사전 영업을 차단하라는 지침을 보내기도 했다.
이처럼 업체들 간 금품제공 등 사전 영업은 결국 사업의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NIS 사업 기본 추진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고 각 학교에서 사전 영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며 “사전 영업은 사업의 부실화로 이어지는 만큼 철저한 조사로 이를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김대현·김명래기자
학교 스쿨넷사업(초고속인터넷망 설치·보급), 벌써부터 광속 로비전
100억원 규모 2천300개 학교 9~10월 사업자 선정
4~5개월전부터 업체 금품 과열경쟁… 부실화 우려
입력 2015-05-05 21:2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06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