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은 오는 11월까지 관내 32개 지방자치단체(한강 24, 진위천 4, 한강·진위천 4)를 대상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이하 수질총량제) ‘맞춤형 방문 기술 지원’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기술지원은 지자체 담당자의 수질총량제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관 간 정보공유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지역개발부하량 산정, 연도별 이행평가 등 총량제 시행과 관련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한강청은 기대하고 있다.

수질총량제는 수계의 목표 수질을 정하고, 이를 달성·유지할 수 있는 해당 유역의 오염물질 총량을 설정해 관리하는 제도로, 개발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총량 측면에서 관리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지자체는 배출량을 줄인 만큼 개발에 필요한 배출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보전과 개발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11년 5월 31일 한강수계지역에 오염총량관리제를 의무화하는 ‘한강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공포해 2013년 6월부터 한강 및 진위천 수계 수질총량제를 본격 시행해 오고 있다.

한강청은 수질총량제 시행초기부터 매년 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술지원을 실시해 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총량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하남/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