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년간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인천로봇랜드 사업의 민간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 방식을 부분개발이 가능하도록 변경했다. 시는 부분 개발이 가능해짐에 따라 민간투자자의 유치가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 청라국제도시 내 76만7천㎡ 부지에 공익시설(로봇산업지원센터, 로봇연구소), 테마파크, 부대시설(호텔, 오피스텔, 상업시설) 등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인천로봇랜드 사업의 골자다.

로봇산업지원센터와 로봇연구소는 지난해 착공해 2016년 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민간투자가 필요한 테마파크 조성 사업 등은 투자자를 유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답보 상태인 투자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대상지 중 일부만 개발할 수 있도록 사업 방식을 변경했다. 또한 ‘투자제안 공모지침서’를 참고하되 자율적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사업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민간투자 부문의 개발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최근 개최한 ‘인천로봇랜드 사업설명회’에서도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내용을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로봇랜드 조성 사업은 한 투자자가 전체를 개발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그렇게 되지 못할 경우 사업이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도 있다”며 “사업방식을 변경한 뒤 투자자들의 문의도 이어지고 있어, 내년에는 민간투자 부문의 개발이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