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전국 최대 규모의 학생과 교사, 학교 등을 관할하고 있지만, 서울 등 타 시·도교육청에 비해 간부급(4급 이상) 정원이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는 교육 행정과 중앙정부와의 대등한 업무 협의 등을 위해 4급 이상 공무원 정원을 늘리는 직급 상향을 교육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2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 소속 일반직 공무원 정원은 1만2천349명이고, 이중 4급 이상은 57명으로 정원대비 0.46%에 해당한다.
반면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일반직 공무원 정원이 6천846명이고 4급 이상 정원이 57명으로 정원대비 0.83%에 해당, 도교육청보다 배 가까이 많다. 인천광역시교육청도 전체 정원 3천68명 중 33명이 4급 이상(1.07%)이다.
도교육청의 간부급 정원은 전국 시·도교육청 평균인 0.8%에도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부교육감의 경우 서울교육청은 ‘가’등급이지만, 경기도교육청 1·2부 교육감은 ‘나’등급이어서 사실상 서울시교육청의 기획업무담당실장(나등급)과 같다.
또 지방공무원 인사, 노조 등 교육청의 전반적인 살림살이를 담당하는 총무과장의 경우 서울시교육청은 3급이지만, 도교육청은 4급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교육부는 서울시교육청이 ‘특별시’라는 이유로 부이사관(3급) 1명과 서기관(과장급 4명)을 도교육청보다 더 둘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 같은 규정은 경기도가 서울보다 학생 수가 2천명이 많았던 지난 2000년 정해진 것으로, 15년이 지난 현재 학생 수 차이는 56만명으로 많아져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최근 전체 일반직 공무원 정원 중 4급 이상 정원을 전국 평균인 0.8%로 적용해 41명(2급 1명, 3급 1명 포함)을 추가 배정해 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전국에서 교육 규모가 가장 큰데 경기 교육이 교사 정원에 이어 직원 정원 문제로 푸대접을 받고 있다”며 “경기 교육의 최근 높아진 위상을 고려해 간부급 정원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과거 서울시의 인구와 학생 수가 경기도에 비해 많아 정원이 추가 배정됐던 것으로 추정된다”며 “4급 이상 직원은 서울시교육청이 많은 반면 하위직 6급 이하 직원은 경기도교육청이 많은 상황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대현·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
“간부급 공무원 늘려달라”
경기도교육청, 행정수요 비해 4급이상 관리직 적어
서울과 2배 가까이 차이… 교육부에 직급상향 요구
입력 2015-07-20 22:0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21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