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측정후 저감대책 마련키로

인천항만공사가 인천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용역에 나선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인천항만공사는 2027년까지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배출량(2024~2026년) 산정 용역’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선박은 부두에 정박하는 중에도 냉동·공조시스템을 가동하기 때문에 계속 시동을 켜놓아야 한다. 이로 인해 항만 일대에선 미세먼지와 온실가스가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화물을 옮기는 하역 장비나 내륙으로 수송하는 트레일러가 내뿜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도 상당한 수준이다.

정부는 항만에서 생기는 미세먼지·온실가스를 줄이고자 인천항 인근을 운항하는 선박에 대해선 황 함유량이 0.1% 이하인 저유황유를 사용하도록 하고, 하역장비에도 DPF(배출가스저감장비)를 부착하도록 하는 등의 조처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인천항 미세먼지 배출량은 2017년과 비교해 49% 정도 줄었지만, 온실가스는 감소 효과가 미미하다고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번 용역에서 인천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저감 대책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인천항만공사는 2030년까지 인천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를 60% 줄이고, 2035년까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저감하겠다는 것을 경영 목표로 세우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정부나 국제해사기구(IMO)가 권고하는 미세먼지·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실행하려면 배출량부터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필요해 이번 용역을 진행하게 됐다”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대책을 세우고,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해 인천항이 친환경 항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