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속協, 활성화 토론회
1998년 출범이후 설립·해체 반복
역량 강화·‘역할 정립 우선’ 제언

그동안 설립과 해체가 반복됐던 인천 기초자치단체 단위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속을 위해 광역지속협과 기초지속협 간 협력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지속협)는 지난 6일 ‘기초지속협 활성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이한구 인천의제21 초대 사무처장(전 인천시의원)은 “인천은 2000년대 초반 기초단체 단위에서 ‘기초의제’가 설치되는 등 지역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발한 협의체가 형성됐다”며 “그러나 광역단체인 인천시와 각 기초단체 간 협력 부족 등으로 지속하지 못한 채 침체했다”고 했다.
인천지속협은 1998년 ‘인천의제21실천협의회’로 출범했다.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환경회의에서 채택한 ‘의제21’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사회를 위한 운동이다. 2000년대 중반 인천 8개 기초단체에 지속협이 있었으나, 기초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협의회의 지원 규모가 달라지는 등 부침을 겪었다. 현재는 남동·부평·서구 등 3곳에서만 기초지속협이 운영되고 있다.
이장수 남동구지속협 상임대표는 “남동지속협은 20여년간 지역 의제 활동을 꾸준히 해왔지만, 2016년 폐쇄됐다”며 “새로운 지자체장의 이해 부족과 편견으로 사무실이 문을 닫았다가, 2021년 새 구청장의 요청으로 부활했다”고 했다.
이어 “기초지속협은 대외적으로는 지자체장의 정치적 성향, 대내적으로는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구성원들의 낮은 이해도와 진부한 활동이 침체를 불러왔다”며 “기초지속협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고 했다.
광역 협의체인 인천지속협과 기초지속협 간 역할 정립이 우선돼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인천지속협은 각 기초지속협에 대한 지원과 평가, 연대 등 큰 틀의 역할을 하고 기초지속협은 지역 의제 논의를 위한 주민참여 확대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기초지속협 교육·홍보와 사업 평가를 위한 전문가 지원도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최혜자 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 사무처장은 “인천지속협과 기초지속협의 관계는 구조적으로 독립적이면서도 기능적으로는 상호의존적인 분담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지역사회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다 보니 다양한 가치관과 이념, 동기가 혼재돼 있는데, 이에 대한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