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백억대의 용인시 공공하수도시설 단순대행관리 민간위탁 사업자 선정작업이 안갯속이다.
시는 지난해 12월6일 해당 사업과 관련된 평가위원회 심의 예정이었으나 당일 갑자기 취소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이후 만 4개월이 지나도록 ‘내부검토중’이란 애매한 입장만 고수한 채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카더라식 소문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시의회 신현녀 의원(경제환경위원장)이 지난 9일 제292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공공하수도시설 단순관리대행 사업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심각한 절차적 문제를 제기(4월9일 인터넷 보도)하면서 논란이 더 거세지고 있다.
신 의원은 올해부터 3년간 총 311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규모 공공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2월 평가위원 구성당시 1차에 602명을 모집하고도 2차에 335명을 추가 모집해 총 937명을 접수한 뒤 이 중 342명을 제척해 최종 595명만을 선정한 과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제시를 요구했다.
이어 평가위원이 구성됐음에도 명확한 사유 없이 심의 자체가 취소된 것은 특정 업체의 유불리를 의식한 조치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며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상황에도 시는 아직까지 시의회 답변서 제출이나 공식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시는 이미 계약기간이 지났으나 기존 개별 관리대행 업체들에게 오는 6월말까지 한시적 운영권을 연장해준 상태다.
이로인해 단순대행관리 민간위탁 사업자 최종 선정을 위해 늦어도 이달내 공모가 진행돼야 할 상황이다. 하지만 기존 공모방식에서 평가위원 선정만 다시할 것인지, 또는 심사위원 인력풀을 더 확대할 것인지, 개별관리체제로 다시 전환할 것인지 등 방식과 방향성조차 시의 공식 입장이 없어 근거없는 소문만 퍼지고 있다.
앞서 신 의원도 ▲평가위원회 심의 취소에 대한 명확한 해명과 관련 문서 즉각 공개 ▲특정 업체 중심의 유불리 논란에 대한 전면적인 진상조사와 대책 마련 ▲사업자 선정 절차 전반에 대한 외부 감사 실시와 재발 방지책 수립 등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공모 중단이후 여러 근거없는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은 알고 있으나 객관성과 신뢰성으로 바탕으로 한 확고한 방법을 찾는 물리적 시간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며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