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2901001979100095111.jpg
독산성세마대지에서 발견된 삼국시대성벽의 모습./오산시 제공

사적 제140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이하 독산성) 학술발굴조사에서, 삼국시대 성곽이 최초로 확인됐다.

29일 오산시에 따르면 시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중부고고학연구소 및 한신대학교박물관과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이하 독산성) 학술발굴조사를 진행중이다.

조사과정 중에 독산성 북동치 및 북문지 주변 성곽 일부에서 배부름 및 이탈 현상 등이 확인됐고, 이를 위한 보수·정비 과정에서 복원성벽 아래에 묻혀있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성벽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삼국시대 성벽은 조선시대 성벽 아래에서 발견됐다.

내벽과 외벽을 함께 쌓는 협축(夾築)방식과 외벽만 쌓는 편축(片築)방식을 모두 이용해 지형에 따라 축조기법을 달리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외벽은 대체로 장방형 혹은 방형의 성돌을 이용해 바른층 쌓기 했으나, 일부 구간에서는 세장방형의 성돌을 이용해 쌓은 것으로 볼 때 수차례 고쳐 쌓은 것으로 파악된다.

외벽의 바깥쪽으로는 체성벽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기단보축을 조성하고, 이에 덧대어 점토를 다시 보강하기도 했다.

내벽은 일부 구간에서만 확인되었고 높이는 약 4m이다. 내벽은 외벽과 달리 가공하지 않은 할석을 이용해 층을 맞추어 쌓아올렸다.

조선시대 성벽은 삼국~통일신라시대 성벽의 적심부 상면에 쌓아올렸으며,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북문 아래층에서 조선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문지와 적대 등이 확인돼 주목되고 있다.

또 성 안쪽 내탁부에서는 상부에 여장(女墻)이 확인됐고, 성 안쪽을 보다 쉽게 오르내릴 수 있게 조성한 계단식 석축시설은 종·횡방향으로 쌓았다.

유물은 삼국~통일신라시대 토·도기편(타날문토기편·단각고배편 등), 연화문 와당, 승문, 선문 및 격자문계 기와편, 고려시대 청자편·반구병, 조선시대 도기편·백자편·다양한 문양의 기와편·전돌편 등이 출토됐다.

유적의 연대는 성벽 축조기법과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삼국시대(6~7세기)에 처음으로 축조된 후, 조선시대(15~18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승규 오산시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독산성에서 삼국시대 성벽이 처음 확인돼 독산성의 초축시기 및 수축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확보됐다"며 "서울·경기 지역의 관방체계와 산성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오산시와 조사기관은 다음달 4일 오전 10시 30분에 일반인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현장공개 설명회를 개최해 발굴성과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 및 현장공개 참가는 한신대학교박물관(031-379-0195)으로 하면 된다.

오산/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