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슬프라이머스의 이관호 대표가 스마트 팜에서 수확한 딸기를 들고 있다. /쎄슬프라이머스 제공 |
지나가던 시민들의 발길이 멈춘 자리, 벽 틈새로 빛이 새어나온다. 층층이 심어진 딸기가 빨갛게 영글었다. 알알이 맺힌 딸기 사이로 핀 꽃에 벌이 앉기도 한다. 수원 광교 아브뉴프랑 한복판에 마련된 쎄슬프라이머스의 스마트 팜이다.
쎄슬프라이머스는 호반그룹 산하 액셀러레이터 법인 '플랜에이치벤처스'의 1호 투자기업이다. 대기업에서 근무하다 2016년에 창업한 이관호 쎄슬프라이머스 대표는 당초 스마트 팜에 필요한 제어 장비와 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농업 분야를 공부하다가, 직접 스마트 팜에 뛰어들게 됐다.
충남 아산에서 엽채소를 기르는 스마트 팜을 운영하던 중 딸기에 눈을 돌렸다. 2019년 무렵부터 아산 스마트 팜에서 딸기를 재배하다, 아예 딸기의 주 생산지 중 한 곳인 전남 담양에 컨테이너 형태의 스마트 팜을 만들어 시도해보기도 했다.
광교 내 호반 산하법인 1호 투자기업
80㎡ 규모로 일반 500㎡ 규모 수확
자동으로 적정량 물 공급·온도 설정
이관호 대표, 판교·광명 등도 계획
그러다 호반의 손을 잡게 됐다. 호반건설이 만든 아브뉴프랑 광교점에 '스마트한 딸기 농장'이 들어선 이유다. 도심에 이렇게 딸기 스마트 팜이 조성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아브뉴프랑 광교점 내 딸기 스마트 팜은 80㎡ 정도다. 1대당 168주가 들어갈 수 있는 재배대가 모두 18개 있다. 3천주 가량의 딸기가 이곳에 심어진 것이다. 하루에 10㎏ 가까이 수확할 수 있는 정도인데, 일반 농장이었으면 땅이 500㎡ 가까이 필요했을 규모다. 80%는 설향, 20%는 홍희라는 대형과를 재배 중이다.
작은 공간 안에는 쎄슬프라이머스만의 기술이 집약돼있다. 특허 출원을 하기도 했다. 딸기는 온도와 습도 등에 민감한 작물이라 농사에 실패할 확률도 높은데, 이곳에선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물이 공급되고 온도도 적정하게 맞춰진다. LED 기기에선 딸기 생육에 적합한 양과 파장대를 맞춰 빛을 공급한다.
농약을 쓰지 않고, 수분을 위해 벌도 함께 키우고 있다. 아직은 사람이 딸기를 수확하지만, 다음 스마트 팜에는 카메라가 딸기 위치를 인지해 직접 수확하고 크기와 당도를 측정해 분류하는 기술을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아브뉴프랑 광교점에 조성된 쎄슬프라이머스의 딸기 스마트 팜에 딸기가 맺혀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
도심에서 기른 만큼, 지역 주민들이 갓 수확한 딸기를 바로 맛볼 수 있어 신선하다는 게 이관호 대표의 설명이다. 바깥 온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다보니 계절 구분 없이 딸기를 출하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기도 했다.
딸기는 다년생 작물이지만 날씨가 더워지면 과육이 물러지고 맛이 없어져 여름 딸기를 맛보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 쎄슬프라이머스는 여름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전세계적으로 딸기 수요가 높아지지만 날씨가 더워 딸기를 재배할 수 없는 도시에 해당 스마트 팜을 수출하는 데도 중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 팜에는 잔뼈가 굵은 쎄슬프라이머스이지만, 딸기는 이번 아브뉴프랑 광교점에서의 수확이 첫 수확이다. 숱한 실패를 거친 끝에 얻게 된 소중한 결실인 것이다.
딸기의 고장이었던 수원에서의 첫 성공을 발판 삼아 판교·광명 등 경기도내 다른 아브뉴프랑에도 딸기 스마트 팜을 조성하는 게 쎄슬프라이머스 측 계획이다. 수확한 딸기는 광교지역을 중심으로 판매해나갈 예정이다.
이 대표는 "딸기 수요가 늘고 있지만 농촌 인구가 고령화돼 재배 면적은 줄어들고 있다. 이런 스마트 팜 기술이 활성화되면 농업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많이 연구했고,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거쳐 첫 딸기 수확에 이른 만큼 기대가 크다. 우리의 스마트 팜 기술이 확대돼 겨울, 봄이 아니라 사시사철 딸기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