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않은 전쟁, 아픔딛고 미래로

[끝나지않은 전쟁, 아픔딛고 미래로·(8)] 인천상륙작전의 빛과 그림자 (下)

민가에 쏟아부은 악마의 무기… "정녕 단테가 그린 지옥이었다"
입력 2023-04-24 20:13 수정 2023-04-25 10:37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4-25 11면

2023042101000829200041431
<사진1> 1950년 9월15일 인천 시내에서 폭격으로 부서지고 불타고 있는 건물들 옆을 주민들이 지나고 있다.(출처: NARA·RG 111-SC-B 735 348505) /전갑생 제공

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 초반 전세를 순식간에 뒤집었으나, 인천지역은 피해가 막심했다. 유엔군과 한국군이 전세를 뒤집기 위해 육·해·공의 병력과 화력을 총동원하면서 상륙지 월미도는 쑥대밭이 됐고, 인천시내가 파괴됐다.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다. 세계 전쟁사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꼽히는 군사 작전의 이면은 지역 차원에서만 간간이 다뤄질 뿐이다.

전갑생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이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Archive Ⅱ)에서 발굴한 <사진 1>을 살펴보자. 인천상륙작전 당일인 1950년 9월15일 인천 월미도 동쪽 마을의 한 민가가 폭격을 맞아 불타고 있고, 소총을 든 유엔군 병사들은 수색 활동을 하는 듯한 모습이 담긴 사진이다.

<사진 1>의 행간을 조금 더 읽어보자. 활활 타오르는 민가는 유엔군이 인천상륙작전 며칠 전 월미도 일대 공습에서 대대적으로 퍼부은 화염 무기 '네이팜(Napalm)탄'의 위력을 보여준다. 집에 난 불을 꺼야 할 집주인이 사진 속에서 보이지 않는 건 폭격으로 인한 희생 또는 피난으로 섬에 살던 주민들이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문이 남는다. 정말로 전쟁 상황에서 피할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희생이었을까.

상륙직전 3천℃ 불바다 만드는 '네이팜탄' 투하
전세 순식간에 뒤집었지만 수많은 민간인 희생
인천 피해 막심했는데… 미군 부대 막사는 멀쩡
전갑생 연구원 "부수적 희생", 헤이그협약 위반


인천상륙작전 기획 관련 월미도
인천상륙작전의 핵심 상륙 지역인 인천 중구 월미도 일대 현재 모습. 폭격 피해를 본 민간인 마을 쪽에는 공원이 들어섰고 주변이 매립되는 등 상륙작전 당시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단테가 그린 지옥, 월미도


인천상륙작전 당시 인천지역 피해에 대해선 정부의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2008년 '진실'로 규명한 '월미도 미군 폭격 사건' 보고서와 미국, 프랑스 기자들이 쓴 한국전쟁 논픽션들을 종합했다.

상륙작전 닷새 전인 1950년 9월10일 항공모함에서 이륙한 미 해병대항공단 항공기들이 월미도 동쪽 지역에 세 차례에 걸쳐 95개(tank)의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육지를 향해 기관총을 난사했다. 유엔군은 9월13~14일 월미도와 인천항 등 시내 일대 함포사격과 공습을 감행하며 다음날 상륙을 개시한다.

월미도 동쪽엔 120가구 약 600명이 사는 마을이 있었다. 당시 월미도에 주둔한 북한군 추정 병력은 미군 기록상 1천명이었다. 한국군 참전자 회고록엔 4문의 고사포와 400여명의 병력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됐다.

월미도 주민 전모(당시 17세) 씨는 네이팜탄이 투하된 날 "폭탄이 떨어지자마자 불이 확 붙어 온 동네가 불바다가 됐다"고 증언했다. 주민 유모(당시 27세)씨는 같은 날 새벽 집에서 잠자다 속옷 바람으로 뛰쳐나와 갯벌로 도망쳤다. 갯벌로 대피한 주민들은 미 항공기의 기총소사를 피하려고 서로에게 진흙을 발라줬다고 한다.

공습이 잠시 멈췄을 때 돌아온 마을은 화염에 휩싸이고 있었다. 유 씨의 시아버지는 머리에 파편 2개가 박힌 채 희생됐다. 집집이 희생자의 시체를 가매장했다. 폭격이 다시 시작되자 생존자들은 불타버린 집과 희생자들을 다 수습하지도 못한 채 월미도를 떠나 뿔뿔이 흩어졌다. 1기 진실화해위원회는 월미도에서 민간인이 최소 100명 희생됐다고 결론을 내렸다.

인천상륙작전 현장에 있던 프랑스 종군기자 앙리 드 튀렌(Henri de Turenne)이 쓴 당시 르포기사가 '한국전쟁통신'(2012·눈빛)에 실려 있다. 그는 월미도의 모습을 "정녕 단테가 그린 지옥이었다"고 묘사했다.

"항만 전체가 을씨년스런 자줏빛으로 환하게 불타올랐다. 바다와 하늘은 피처럼 검붉었다. 몇 시간 동안 끊임없이 쏘아대는 함포들이 모든 함정을 뒤흔들었다. (중략) 코세어 전투기들은 우리 전방 200m 앞 해안까지 네이팜탄을 끊임없이 퍼부었다. 그 거대한 불기둥을 치솟게 하는 포격은 어둠 속에서 험상궂게 일그러진 얼굴들을 환하게 비춰 주었다."

인천시내 폭격 피해도 컸다. 전갑생 연구원이 미군 자료 등을 발굴·분석해 쓴 '인천과 한국전쟁 이야기'(2020·글누림)를 보면 인천시내 폭격은 9월7일부터 21일까지 이어져 시내 곳곳이 완전히 파괴됐다.

특히 유엔군 상륙 직전인 14일 오전 5시 55분부터 월미도와 인천 일대 59.8시간 동안 폭격 작전이 전개돼 폭탄, 네이팜탄, 기총소사가 78차례 진행됐다. 또 1000-1B 범용폭탄 100개가 투하되고 115개의 로켓 공격이 이뤄졌다. 이어 15일 오후 5시5분 로켓함 3척이 20분 동안 6천여발의 로켓을 인천으로 발사했다.

사진 1
<사진2> 인천상륙작전이 감행된 1950년 9월15일 월미도에서 유엔군 병사들이 소총을 들고 불타고 있는 한 민가 옆을 지나가고 있다.(출처: NARA·127-GR-25-172-A2739 001-ac) /전갑생 제공

이 기간 인천지역 인명 피해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전갑생 연구원이 NARA에서 발굴한 1950년 9월15일에 촬영된 <사진 2>는 건물들이 불타고 무너진 인천시내 모습 등 당시 피해 상황을 가늠하게 한다. 앞서 소개한 '한국전쟁통신'의 9월16일 르포기사를 다시 인용해본다.

"섬과 내륙을 잇는 인천은 여전히 연기가 치솟는 죽음의 도시였다. 담배공장은 엄청난 화염에 휩싸여 타오르고, 그 화염 기둥은 30m 높이로 치솟아 지독한 악취를 퍼트렸다. 한 청년이 끔찍한 부상을 입은 할아버지를 손수레에 싣고서 황량한 대로를 걸어 내려왔다."

■ 민간인 희생은 예상됐다


인천상륙작전 직전 월미도와 인천 일대 폭격은 초토화 목적의 '전략폭격'이었다. 여러 정황상 유엔군은 월미도 일대 민간인 거주지와 인천시내 민간시설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인천항은 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49년 철수하기 전까지 미군의 군수 보급 통로였고, 부평에 군수보급기지(Army Service Command 24th Corps·현 캠프마켓)가 있었다. 당시 시가지 지도와 정밀한 항공사진도 확보하고 있었다. 월미도에도 한국전쟁 전까지 미군기지가 있었다.

폭격 피해를 본 월미도 주민들은 1기 진실화해위원회 조사에서 "동네는 완전히 무너졌지만, (전쟁 전부터 있던) 미군부대 막사는 폭격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인천상륙작전은 북한군에게 낙동강 전선까지 밀린 유엔군과 한국군이 전세를 일거에 역전해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총공세였다.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유엔군 총사령관이 병사들에게 "늦어도 크리스마스는 고향에서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한 이유다.

유엔군이 인천상륙작전에 얼마나 화력을 쏟아부었는지 낙동강 전선에서도 불만이 터져 나올 정도였다.

데이비드 핼버스탬이 쓴 한국전쟁 논픽션 '콜디스트 윈터'(2009·살림)를 보면, 낙동강 전선을 지킨 월튼 워커(Walton H. Walker) 미8군 사령관은 "월미도와 인천에 있는 애송이들을 상대하느라 우리보다 더 많은 탄환을 썼다. 우리는 적의 지상 병력 90%를 감당하면서도 그만한 지원을 못 받았다"고 했다.

인천 앞바다는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한 갯벌 지대로 상륙작전을 감행하기엔 악조건이 많았다. 월미도와 인천 시내 일대 대규모 전략폭격은 상륙작전의 '불확실성'을 모조리 제거하기 위한 '절멸 작전'이기도 했다.

사진 4
1950년 9월16일 월미도에서 네이팜탄 화상을 입은 북한군 포로. (출처: NARA·RG 319 CE B 38) /전갑생 제공

이 지점에서 악마의 무기라 불리는 네이팜탄 투하가 연결된다. 네이팜탄은 알루미늄, 비누, 팜유, 휘발유 등을 섞어 젤리 모양으로 만든 네이팜을 연료로 하는 무기다. 3천℃의 고열을 내면서 반지름 3m 이내를 불바다로 만든다.

전쟁역사가 아라이 신이치(荒井信一)는 '폭격의 역사'(2015·어문학사)에서 "도시 소이탄(네이팜탄) 공격의 주된 목적 중 하나는 전시 생산을 지탱하는 노동력 그 자체의 직접적인 파괴"라며 "공업 노동력, 즉 생산과 관련된 민간인의 붕괴에는 노동자뿐 아니라 그 가족과 이웃을 불태워 버리는 것도 포함돼 있었다"고 했다.

전갑생 연구원은 "유엔군은 인민군 치하에 있던 인천지역의 모든 주민을 사실상 적으로 간주했고 민간의 피해를 '부수적 희생'으로 봤다"며 "민간인은 전쟁 중 공격의 대상이 돼선 안 되는 헤이그협약 등 국제규범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연재_끝나지않은_전쟁(전송기x).jpg



2023042101000829200041436



경인일보 포토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박경호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