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 위기대응' 토론회

민주당 박찬대·유동수 의원 등
현역 기자들과 문제의식 공유

"CP사 위주, 다양성 측면 외면
선거 등 여의도 계파만 남을것"
사용자 위치 중심 방식 제안도

0022.jpg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열린 '포털뉴스로 황폐화된 지역언론 생태계, 이대로는 안 된다'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2023.12.2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대형 뉴스 유통 포털사 카카오(다음)가 우선 검색대상이 되는 뉴스 공급사를 자사의 콘텐츠 제휴사(content partner, CP사)로 제한한 것은 불공정하고 결국 민주주의 근간을 해친다는 우려가 쏟아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유동수 허종식 김교흥 의원은 20일 국회의원회관 4간담회실에서 '포털뉴스로 황폐화된 지역언론 생태계, 이대로는 안된다'는 토론회를 열고 현역기자들과 언론노조, 전문가들과 함께 포털 횡포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했다.

발제에 나선 박서연 기자는 "SPC 단독 보도로 잘 알려진 경인일보 김산 기자가 자신이 쓴 기사로 사건이 사회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타 회사가 쓴 다음에서야 알려져 안타깝다"고 한 인터뷰 내용 먼저 소개하며 말문을 열었다.

박 기자는 다음이 검색값을 CP사로 제한한 이후에는 "잘 안보이던 지역언론이 검색하면 아예 안 나온다"면서 "이 문제는 언론의 다양성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인데 (CP사인) 주요 언론이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명래 경인일보 정치부장은 다음이 "지역말살을 획책한 기업이 됐다"고 꼬집었다.

김 부장은 상수도가 도입된지 115년만에 수도가 처음 들어선 지역을 현장 취재해 송출한 기사는 검색이 안 되고, 기관이 알린 내용으로 작성한 CP사의 기사만 검색이 되는 현실을 예로 들었다. 기사 유통 자체가 불가능해졌다며 네이버가 그 뒤를 잇는다면 패닉 상태가 될 것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선거와 정치에도 영향을 심대하게 미칠 것을 우려했다. 김 부장은 "지역언론은 중앙 언론과 달리 동네 이슈를 끌어내고 지역 정책을 다뤄왔다"면서 "이런 상황이면 선거에서 지역정책은 사라지고 중앙이 다루는 여의도 계파 정치만 남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다음의 뉴스검색값 제한'을 대중이 모르고 나도 몰랐다"면서 "포털은 공기가 아니라 자본의 논리에 운영되는 사기업으로 '공기'를 자기 기준에 맞춰 이렇게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지 분노를 느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러한 독점 사기업 횡포에 대해 제도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했고, "지방분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 지방정부가 나서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양진수 인천일보 디지털미디어부장은 포털의 검색 알고리즘 때문에 키워드 저널리즘으로 흐른다면서, 이로 인해 분석기사, 호흡이 긴 기사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일갈했다. 양 부장은 "포털이 검색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지역언론과 상생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OBS 이수강 정책기획관은 "신문사 방송사 인터넷 매체가 같은 미디어지만 속성이 다르다"면서 "OBS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재허가 재승인을 거치고 공적 책임수행 등 공정성과 재난방송, 지역 사회 문화적 필요성 등을 인정받았는데 이런 정부 평가 잣대보다 제평위 잣대가 더 높은 것인가"고 반문했다.

방송과 신문을 한데 묶어 경인지역 1개 CP사를 선정하는 데 대한 부당함도 지적했다.

김동원 언론노조 정책실장은 "다음의 뉴스검색값을 보고 제일 우려했던 것은 다음카카오 CP사가 150개 정도인데, 동아일보 계열은 9개가 모두 CP사고, 조선일보 6개사, 중앙홀딩스 6개사, 머니투데이가 8개사, 한국경제도 4개사가 모두 CP다. 5개사가 33개 제휴사를 점유하고 있다"며 "뉴스는 과점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러나 김 실장은 대부분의 현직 기자들이 정부 규제를 요구한 데 대해 "정치적 개입이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향후 CP사 심사와 상시콘텐츠 심의 모니터를 분리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그 지역의 언론사 뉴스를 먼저 올리는 구글 뉴스 방식을 채택할 것을 아울러 제안했다.

/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