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 속 '착한 가격'도 생존 투쟁
"마진 제로" 업주들, 경영난 호소
인상 압박 못견뎌 인증 반납하기도
市 홈피 가격과 불일치 사례 다수
"분기별 정보 갱신… 현장과 차이"
26일 인천시 연수구 함박마을에 위치한 고기와 찌개를 판매하는 착한가게에서 손님들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2024.3.26 /김용국기자yong@kyeongin.com |
인천 남동구에 있는 '착한가게'(착한가격업소) 에바다떡볶이는 올해 1월 대표 메뉴인 떡볶이 1인분 가격(3천원)을 500원 인상했다.
이 업소는 인건비 등을 줄이면서 가격 인상을 억제해 왔으나, 치솟는 물가 영향을 피할 순 없었다.
착한가격업소를 운영 중인 인천 내 소상공인들이 멈출 줄 모르고 오르는 물가에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물가 인상 압박을 못 이긴 업주들은 판매가격을 올리거나 착한가격업소 간판을 떼고 있다.
에바다떡볶이 점주 양선은(58)씨는 "물가 상승에도 지난해까진 아르바이트생을 안 쓰고 가족끼리 가게를 운영하면서 떡볶이 가격을 올리지 않았는데, 올해는 도저히 마진을 남길 수 없어 가격을 올렸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금도 겨우 손해를 면하는 수준이라 언제까지 착한가격업소를 유지할 수 있을지 불명확하다"고 했다.
행정안전부와 각 지자체는 2011년부터 가격, 가게 위생, 서비스 등을 종합 평가해 착한가격업소를 선정하고 있다.
행안부는 착한가격업소가 물가 안정에 기여할 뿐 아니라, 주머니가 가벼워진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골목경제를 살리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착한가격업소는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 상황에서도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관심이 더욱 커졌다.
하지만 착한가격업소도 고물가 여파로 더는 착하기 어렵게 됐다. 착한가격업소 간판을 내걸게 된 가게의 '착한가격' 메뉴조차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지난해 연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11.59(2020년=100)로 2년 전 102.50에서 8.86% 올랐다. 이러한 추이는 IMF 위기였던 1997년(1995년 대비 9.58% 상승) 이후 최고치다.
고물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월 월별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로 지난해 12월 이후 두 달 연속 상승세다.
특히 2월 농산물(곡물, 채소, 과실 등 57개 품목)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0.9%(113.22→136.72) 올랐다.
채소가 12.2%, 과실은 40.6% 상승했다. 요즘 '금값'이라는 사과는 무려 71%나 올랐다.
착한가격업소인 인천 한 김밥가게 직원은 "최근 김밥 주재료인 야채와 계란값 등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며 "2년 전 김밥가격을 500원 올린 뒤 아직까진 유지하고 있지만, 물가 상승세가 계속되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착한가격업소들이 음식값 인상 등에 나서면서 행안부·인천시 홈페이지에 공개된 가격 정보와 '불일치'하는 사례가 나온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에 공지된 짜장면 가격은 5천원인데, 실제 해당 업소에서는 6천원에 판매되는 식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분기에 한 번씩 가격 정보를 갱신하고 있어 현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점주가 가격 인상 후 우리에게 먼저 알리지 않는 한 즉각적으로 인상된 가격을 반영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상우기자 beewoo@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