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68주년 경인일보 뿌리를 찾다

[경인일보 뿌리를 찾다·8]경인지역 언론의 뿌리는 하나

대중일보가 뿌린 씨앗

경인 언론의 싹 틔우다
763098_339792_1927
창간주역 송수안 '뚝심 경영'
허합, 지역 문화 창달 선구자
김응태, 꼿꼿한 기자로 족적


경기·인천지역 언론은 대중일보를 뿌리로 삼아 성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대중일보가 창간된 1945년 이후 언론인들의 이동 흐름은 그 자체로 경기·인천지역 언론사의 궤적이다.

경기·인천 언론의 토대를 닦은 주요 인사로는 송수안 경기매일신문 발행인, 허합 인천신문 사장, 김응태 경기일보 부사장 등을 꼽을 수 있다.



송수안은 1945년 대중일보 창간 주역 중 한 명으로 대중일보의 뒤를 잇는 인천신보, 기호일보, 경기매일신문 사장·발행인을 지냈다.

인천신보 시절인 1954년 12월 16일부터 약 5년간 '재정난'으로 신문을 내지 못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고 신문사를 다시 세웠다.

1973년 언론통폐합 때 '통합 도장'을 가장 늦게 찍은 인물도 송수안이었다. 충남 서천 출신의 허합은 1959년 당시 숭의동에 있던 개인 땅을 팔아 주간 인천을 인수하고, 이듬해 인천신문을 창간했다.

기독교적 청빈 사상이 몸에 밴 인물이었고, 지역의 문화·체육·사회단체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허합은 대중일보 편집국장을 지낸 고일과 친분이 두터웠다.

고일은 인천신문 초대 주필을 맡았다. 김응태는 대중일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해 주간 인천 편집국장, 인천신문 편집국장, 경기일보 편집인 등을 지냈다.

기사 작성·출고에 있어서는 예외 없이 엄격했던 선배였다는 것이 후배 기자들의 그에 대한 공통된 기억이다.

이처럼 송수안은 '언론 경영인'으로, 허합은 '지역 문화 창달자'로, 김응태는 '꼿꼿한 기자'로 경기·인천 언론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이들과 함께 언론활동을 한 사람들이 훗날 경기·인천 언론의 중요한 자산이 됐다.

경기매일에서 편집국장을 지낸 김형희는 옛 경인일보(1962년 폐간) 출신으로 경기신문을 거쳐 현 경인일보에서 편집이사를 지냈다. 경기매일 기자였던 전중열은 훗날 경인일보 편집국장까지 올랐다.

1960년대 허합 사장의 인천신문에서 기자를 한 오광철은 1966년 창간한 경기일보, 1973년 경기신문을 거쳐 1988년 창간한 인천신문(현 인천일보)에 합류해 편집국장을 했다.

연합신문·경기신문 출신의 이천우는 경인일보 편집부국장을 거쳐 경기일보 논설위원, 인천일보 이사를 지냈고, 역시 연합신문·경기신문 코스를 밟은 이진영은 1980년대 이후 경인일보 편집국장, 경기일보 편집이사, 중부일보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경기일보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신창기 역시 연합신문 출신이다. 1960년 인천신문 기자로 입사한 임상규는 경기신문 업무국장 등을 거쳐 1980년대 경기신문·경인일보에서 각각 사장을 했다.

/김명래기자

경인일보 포토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

김명래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