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 경기도 떠나려는 자, 오려는 자

道 이탈·편입 ‘저울질하는’ 지자체
백재현 의원, 광명시민 ARS조사
“85%, 서울포함 희망… 증가 추세”
포천·연천, ‘강원도行’ 주장 제기
인천 강화, 道환원 목소리 이어져


최근 광명시에서 서울특별시 편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해 말에는 포천·연천을 강원 철원과 통합해 강원도로 가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다. 반대로 올해 초 인천 강화군에선 경기도 김포로 환원돼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경기도를 ‘떠나려는 자’, 그리고 ‘들어 오려는 자’들의 문제는 내년 4월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벌써부터 지역 정치권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제각기 다른 이유를 들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이익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정치권의 이해득실이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18일 새정치민주연합 백재현(광명갑) 의원은 지난 8월말 만 19세 이상 광명시민 717명을 대상으로 ARS 전화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5.4%가 서울 편입을 희망했다고 밝혔다. 광명과 서울의 생활권이 같고 수도 등 인프라를 공유하고 있는 점이 주된 요인이 됐다는 게 백 의원실의 분석이다.

의원실 관계자는 “지난 2009년 설문조사를 실시했을 때는 서울 편입을 희망한다고 밝힌 응답자가 74.1%였는데 6년 새 10%p 늘어났다”며 “민의를 수렴하자는 차원에서 실시한 것이었는데, 실제로 편입을 추진하겠다며 방법을 묻는 주민들도 있어 소통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열흘 뒤 실시된 광역의원 재선거에 나선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는 ‘광명의 서울 편입을 위한 주민투표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다.

1년여 전, 포천·연천에서는 철원과 통합해 강원도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도권 중첩 규제로 성장에 발목이 잡힌 포천·연천이 철원과 통합해 비수도권인 강원도로 귀속, 통일시대의 중심지로 거듭나야 한다는 논리였고 지난해 11월에는 통합추진위원회까지 꾸려졌다.

추진위 대표를 맡고 있는 김정완 대진대 DMZ연구원장은 “3개 지역이 통합해 통일 한국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지금은 진행 속도가 더디지만 각 지역과 조율하며 계속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반면 인천 강화군은 경기도로 환원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월 강화군에선 “인천으로 편입된 지 20년이 됐는데 인천시와 일체감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고, 지역 발전도 제자리 걸음”이라며 김포와 통합해 경기도에 속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역시 통합추진위원회도 구성됐다. 도의회에선 지난 5월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며 이 같은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결의안을 발의한 조승현(새정치·김포1) 도의원은 “주민 서명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처럼 지역 정치권을 들썩이게 하는 이탈·편입 논쟁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 이해관계와 맞물려 보다 불붙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실 가능성은 낮다고 보지만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여론을 꾸준히 살피고 있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강기정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