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천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구축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인 ‘나이스(NEIS)’가 일선 교육현장에서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

‘11살 학대 소녀’ 사건을 계기로 나이스를 점검해 본 결과 교육청에서는 장기 결석 학생 숫자만 파악 가능할 뿐 결석 기간이나 추후 조치 사항 등을 전혀 확인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9일 인천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도 교육청은 나이스를 이용, 학생 현황과 학적 등을 파악해 학업 중단 학생 등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큰 틀에서 숫자만 나열한 현황만 파악될 뿐, 구체적인 사유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반면, 학교에서 관리하는 정원외 상황부에는 결석기간과 정원외 관리 일자·학년·반·이름·성별 등 비교적 세부적인 정보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천시교육청은 인천 지역 장기 결석 아동 7명의 행방을 확인하는데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인 ‘나이스’가 아닌 학교에 보관한 ‘정원외 관리상황부’를 기본 자료로 활용했다.

경기도교육청 역시 학교의 정보 제공 없이 기존의 나이스로는 ‘11살 학대 소녀’와 같이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을지 모르는 행방불명된 초등학생 35명의 소재 파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사건이 발생한 지 16일만인 지난 28일 뒤늦게 도내 25개 교육지원청에 협조 공문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아동 학대 피해를 예방하려면 시·도교육청의 나이스와 학교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황부의 정보 공유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교육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 관계자는 “학교에서는 나중에 부모와 연락이 닿는 경우도 있어 연락 두절 학생에 대해 상세히 관리하고 있다”며 “모든 아이의 학업 중단 이유에 대해 나이스에 입력할 수는 없지만 아동 학대 피해가 우려되는 ‘행방불명’에 대해서는 교육청 단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전수조사가 종료되면 나이스 시스템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김주엽·조윤영 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