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장기결석한 초등학생이 47명에 달하면서(경인일보 1월 18일자 23면 보도) 이들의 행방에 대해 경찰과 교육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경기도교육청과 경기지방경찰청이 분류한 장기결석 초등학생 현황조차 맞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엇박자 행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17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인천 11살 여자 초등학생 학대사건을 계기로 장기결석 초등학생에 대한 전수 조사를 벌인 결과 47명의 초등학생이 장기 결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도교육청은 모두 10건에 대해 경찰에 신고했고, 2건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학대 여부에 대해 의뢰했다. 또 25건에 대해서는 해외로 출국한 사실을 확인하거나 거주 사실을 확인해 출석독려 조치했다. 하지만 나머지 10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행방이 묘연해 확인에 나섰다.

도교육청은 행방이 묘연한 10명의 초등학생에 대해 거주지가 확인되는 대로 읍·면·동 주민센터 직원과 합동점검을 통해 현장조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경찰과 핫라인을 구축해 아동학대 정황이 발견될 경우 해당 사건을 경찰에 의뢰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기경찰에 신고 접수된 장기결석 초등학생 수와 도교육청이 집계한 현황이 달라 전수조사 중간점검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교육청은 장기 결석 중인 47명의 초등학생에 대해 총 10건을 경찰에 신고했다고 설명했다. 반면에 경찰이 도교육청으로부터 접수한 장기결석 초등학생 수는 9명이다.

경찰은 이 가운데 부천에서 훼손된 시신으로 발견된 초등생 1명을 제외하고 8명의 안전을 확인했다. 경찰 관계자는 "교육청으로부터 신고를 받은 것은 9건이고 행방은 확인됐다"며 "나머지 장기결석 학생 행방에 대해서는 부모나 학교의 신고가 없을 경우 확인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이 경찰에 신고한 건수와 경찰에 집계된 건수가 다른 이유에 대해 아직 잘 모르겠다. 확인해 보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부천시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거주확인 요청에 제대로 답변을 하지 않은 심곡3동 주민센터를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했다.

/김범수·조윤영기자 fait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