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201000834200039201.jpg
경주지역에서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1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센터에서 유용규 지진화산감시과장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2일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은 5년여 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분석됐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센터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번 경주 지진 역시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 센터장은 대지진의 전조가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전례가 없던 지진이 아니라, 과거에도 지진이 발생했던 지역이기 때문에 특이현상은 아니다"면서 "앞으로도 규모 5.5 이하의 지진은 더 일어날 수 있지만,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라고 강조했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의 원인은 양산단층대로 보인다"며 "1978년 지진 관측 이래 이 단층대에서 지진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손 교수 역시 한반도 대지진의 전조는 아니라면서도 "경주에는 원자력발전소도 있고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도 있는 만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규모 5.1 정도 지진이면 큰 피해는 없지만 자주 일어나면 문제고, 5.5가 넘을 경우 내진 설계가 안 된 건물은 무너진다"고 덧붙였다.

손 교수는 지난 9일 북한이 강행한 5차 핵실험이 이번 지진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한반도에서 지진이 연거푸 발생하고 있다"며 "양산단층 외에도 다른 가능성을 열고 정밀 분석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오늘 지진의 규모가 한반도에서 관측된 지진 규모 중 가장 크다"며 "오늘 지진을 '대지진'이라고 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

지질연 지진센터는 이날 경주 지진에 대한 지진원 분석을 통해 지진이 주향이동 단층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7월 5일에는 오후 8시 33분께 울산 동구 동쪽 52㎞ 해상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박상일기자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