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공공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

인천 내항재개발은 민간개발 방식으로 진행됐으나, 사업성 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LH 등이 참여하는 공공개발로 추진하게 된 것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LH에서 인천 내항 재개발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향을 전해왔다"며 "이달 중으로 LH와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해수부 등이 참여하는 실무협의를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사업은 인천항 내항 1·8부두 28만6천㎡ 부지에 역사·문화와 여가·관광기능이 복합된 시설을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수부는 지난 2014년 공모 때 신청 사업자가 없어 올해 상반기 공공시설 비율을 기존 66%에서 47%로 낮추는 등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을 채택, 재공모를 실시했다.

하지만 신청 마감일인 지난달 29일까지 한 곳도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 민간개발 방식을 포기하게 된 것이다.

이에 해수부는 LH의 제안을 바탕으로 인천항만공사, 인천시 등이 참여하는 공공개발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공공개발 방식이 되더라도 공공시설 비율 등 기존의 사업내용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는 이달 중 각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회의를 통해 사업 방식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내항 재개발사업이 다른 부두의 재개발 등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내항의 물동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바탕으로 오는 2030년 다른 부두의 재개발 등 활용방안을 담은 '내항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있다.

해수부는 마스터플랜이 마무리되지 않은 단계라도, 재개발 주체와 논의를 진행하면 내항 전체의 향후 계획과 어우러질 수 있는 재개발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에는 사업자가 없지만, LH가 참여 의향을 밝혀 앞으로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사업이 최대한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