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구가 중금속 등 화학물질로 오염된 부영공원 개방을 성급하게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토양 오염도가 공원(1지역)에 부합하는 기준치를 여전히 웃도는 데다, 가로등과 같은 기본적인 안전시설도 갖추지 않고 개방하면서 시민의 안전이 우려된다.
20일 부평구와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시작한 산곡동 '부영공원' 토지오염정화사업이 준공 예정일에 비해 두달 가량 일찍 마무리되면서 다음 달 임시 개방된다.
부영공원은 인근 미군부대의 영향으로 발암물질인 벤젠, 크실렌 등 각종 중금속과 빈혈, 백내장,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최고 1만5천955㎎/㎏까지 검출됐으나, 토지정화사업으로 현재 500~700㎎/㎏까지 낮췄다.
토양환경보전법상 '공원'은 TPH가 500㎎/㎏ 이상 검출되면 안 되지만, 부영공원은 지목상 임야(2지역·기준치 800㎎/㎏)라는 이유로 국방부가 2지역으로 분류해 오염정화를 하면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이에 환경 전문가들은 공원 수준을 회복하려면 수목 식재를 늘리고 자연정화될 때까지 공원 개방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공원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 상황에서 공원을 전면 개방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부평구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공원 부분 개방 등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부평구 관계자는 "다소 이른 감이 있지만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임시 개방하게 됐다"며 "오염이 심한 부분은 나무를 심고 있으며, 가로등을 설치할 때까지 야간 주민 출입 등을 되도록 제한하겠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중금속 정화 부영공원 개방… "믿어도 될까" 불안한 시민
전문가 "기준치 초과 위험"
자연정화까지 시기 늦춰야
기본적인 안전시설도 미비
입력 2016-10-20 22:27
수정 2016-10-20 22: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10-21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