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20일 오전 수원 경기도교육청에서 열린 경기도교육행정협의회에 참석한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광교 신청사 공동 이전에 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사람 인(人)자 형상 '아랫부분'
도교육청 안팎서 위치 반대여론
일조권 침해·부족한 규모도 거론
두기관 신경전 통합청사 '안갯속'

내년 6월이면 첫 삽을 뜨게 될 경기도 신청사의 명운이 통합청사를 둘러싼 도와 도교육청의 신경전 속 안갯속에 놓여있다.

2016102001001388000068642
도는 도·도의회·도교육청 세 기관의 청사가 모여 '사람 인(人)' 형상을 이루고 있는 통합건물 조성을 발표한 바 있는데 "위치, 이전 비용 등에 대해 기관 간 제대로 된 협의도 거치지 않고 교육청이 도청의 다리 모양새가 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도교육청 안팎에서 통합청사 내에서의 교육청 건물위치 등에 대한 반대여론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배치도 참조

20일 오전 도교육청에서 진행된 '경기도교육행정협의회'에서 남경필 도지사와 이재정 도교육감은 교육청의 광교이전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도가 지난 4월 3개 기관이 人자 통합건물에 함께 입주하는 게 골자인 '경기도 신청사 융복합개발 마스터플랜'을 확정·발표했지만, 반년이 다 되도록 도교육청이 입주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서다.

이날 이 교육감은 "위치상 도의회가 교육청을 가려 일조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등의 의견을 남 지사에게 전달했다. 앞서 신청사 조성에 대한 마스터플랜 발표 당시 언급했던 "현재 청사를 매각해도 1천억 원 정도를 충당해야 하는데 여력이 없다" "600명에 달하는 교직원을 수용하기엔 현재 계획된 면적으로는 역부족"이라는 우려 역시 함께 거론됐다.

마스터플랜 발표 후 도교육청 안팎에서 "도청이 머리와 몸통이고 교육청은 다리인가"라는 불만이 제기돼 왔던 점과 이에 따른 설계변경의 필요성 등도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두루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도교육청 여론을 감안하더라도 신청사설계가 실제로 변경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신청사 조성업무를 담당하는 도 건설본부는 "현재는 도와 도의회 청사에 대해서만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도교육청의 이전 여부가 확정되면 교육청 청사에 대한 설계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전체 설계를 완전히 뒤집는 것은 일정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어려울 듯 싶다"고 밝혔다.

지난달 신청사에 대한 기본설계를 마친 도 건설본부는 연말까지 실시설계를 마무리한 후 내년 6월 첫 삽을 뜬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은 아직 광교로 이전할지 여부를 공식적으로 결정하지 못했다. 이 교육감이 그동안 도교육청 안팎에서 제기됐던 여러 이야기들을 의견 교환차원에서 거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남 지사와 이 교육감은 학교급식, 초등학교 노후화장실 개선, 거꾸로 캠퍼스(경기영어마을) 추진에 대한 두 기관의 협력 문제를 두루 논의했다.

최근 사교육 폐지론을 주장한 남 지사는 "(교육청이 추진하는) 야자 폐지,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사교육을 줄여나가는 것으로, 사교육 폐지라는 큰 방향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강기정·조윤영·전시언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