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근대 개항기에 조성된 외국인 묘지를 내년에 인천가족공원으로 이전한 이후 관련 국가 대사관 주재원 등을 초청하는 행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외국인 묘지가 인천의 '국제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역사 현장인 만큼 앞으로 인천시가 국제관계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인천시는 연수구 청학동에 있는 외국인 묘지를 시립장사시설인 인천가족공원으로 완전히 옮기는 내년 4월께 각국 대사관 관계자를 초청해 이전사업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청학동 외국인 묘지에는 1883년 개항 이후 근대 시기 인천에서 활동한 미국·영국·독일·러시아·이탈리아·프랑스·호주 등 12개국 출신 외국인 40명이 잠들어 있다.

국적이 불분명한 묘지 26기를 포함하면 외국인 묘지는 총 66기다. 현재까지도 관련 국가 대사관 주재원 등의 참배가 이뤄지고 있어 이전사업을 계기로 관련 국가와 함께 인천 외국인 묘지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자는 게 행사의 취지다.

외국인 묘지에는 인천의 첫 서양식 의료기관인 '성누가병원'을 설립한 미국 출신 엘리 바 랜디스(Eli Barr Landis·1865~1898) 박사, 청나라 외교관 출신으로 인천해관(지금의 세관)에서 일한 중국인 우리탕(吳禮堂·1843~1912) 등 개항기 주요 인물들이 묻혀있다.

오페라 '나비부인'의 실제 주인공 딸인 베넷 하나 글로버((Bennett Hana Glover)의 묘지도 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묘지가 개항 당시 다양한 국가에서 온 수많은 외국인이 인천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자, 각국의 근대 장묘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고 설명한다.

단순히 일회성 행사에 그칠 게 아니라, 인천에서 잠든 외국인의 묘지를 100년 넘게 대우하고 관리해온 인천시와 세계 여러 나라 간 우호를 상징하는 장소로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방문객이 많은 인천가족공원으로 이전하면 시민들이 외국인 묘지를 접할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며 "각국 대사관 등과 관련한 활용방안도 구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