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올해 겨울방학부터 일선 학교의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된 건축 자재를 철거하는 첫 공사에 착수하지만,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사립유치원을 지원 대상에서 제외해 유치원 관계자와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다.

11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석면이 검출된 학교 천장 자재(텍스)를 교체하기 위해 초·중·고교 447곳에 1천278억 원을 최초로 지원했다. 흉막질환, 폐암, 악성중피종 등을 유발하는 석면은 세계보건기구가 규정한 1급 발암물질로, 지난 2009년부터 국내 사용이 전면 금지돼 있다.

석면 천장 자재를 설치한 도내 유·초·중·고교는 올해 기준 2천300여 곳으로, 전체의 약 58%를 차지한다.

도교육청은 위해성 평가 등급과 준공된 지 25년이 지난 건물 등을 기준으로 학교 447곳을 우선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사립유치원은 제외했다. 석면 천장 자재가 설치된 도내 유치원은 모두 979곳이며, 이중 사립유치원 397곳으로 모두 올해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사립유치원의 석면 천장 자재 사용 면적(53㎡~5천666㎡)은 병·단설 유치원(50㎡~1천549㎡)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나 오히려 철거 공사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학교 병설 유치원의 경우 학교에 설치된 석면 천장 자재를 철거할 때 같이 공사할 예정이어서 사립유치원 관계자와 학부모들의 반발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정이 이렇자 학부모 우려 등을 막기 위해 사립유치원들은 자비로 석면 천장 자재를 재도배하는 등 임시방편식의 보수 공사를 진행하거나 계획하고 있다.

수원의 한 사립유치원 관계자는 "아이들이 등교하지 않는 방학에 자비 300여만 원 들여 천장에 벽지를 덧바르는 공사를 할 예정"이라며 "아이들의 건강을 생각해 석면 천장 자재를 모두 철거하려면 수천만 원의 비용이 들 텐데 면적별 차등 지원 등의 검토 없이 사립유치원만 제외한 것은 역차별"이라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위해성 평가에서 가장 높은 등급(중간 등급)을 받은 사립유치원 11곳 등에 석면 자재 파손 등을 막기 위한 관리비를 지원했기 때문에 올해 예산 지원을 받지 못한 나머지 유·초·중·고교의 위해성 수준은 비슷하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내 모든 유·초·중·고교에 설치된 석면 천장 자재를 제거하려면 7천억 원이 넘는 예산이 필요해 전면 공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예산이 부족해 석면 가루가 날릴 우려가 있는 노후 학교를 우선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