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이익을 창출하고 이들의 자활을 돕는 사회적 기업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어 지자체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9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발표한 '2015년 사회적기업 사업보고서'를 보면 인천 지역 취약계층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13만원으로 서울 130만원, 경기 140만원 등 다른 수도권 지역에 못 미쳤다. 전국 평균(132만원)에 견줘봐도 월 21만원이 낮다.
지난 2년간 평균임금 인상률만 보더라도 서울 12.8%(15만원), 경기 27%(30만원) 등 전국 평균 19.4%(22만원)가 증가했지만, 인천은 6.8%(7만원)에 불과했다. 2013년 대비 2015년 최저임금 인상률 14.8%와 비교하더라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표 참조
이같이 부진한 실적의 이유로 인천 사회적기업 관계자들은 "인천 지역 사회적 기업이 열악한 환경에서 자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윤성구 인천시사회적기업협의회장은 "사회적 기업은 이익 추구가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지자체의 지원, 시민 홍보가 필요한데 그런 것이 없다 보니 성장하는 데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며 "단편적으로 공공구매 사회적 기업 구매 비율만 봐도 인천시가 수년째 하위권"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라 지자체는 매년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 실적을 관리하고 늘려가야 하지만, 인천시의 지난해 구매 비율은 0.57%로 전년도(0.99%)보다 하락했다. 인천시의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 실적은 충청남도(0.15%), 경상북도(0.29%)와 함께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지난해 인천 지역 사회적 기업 당기순이익은 평균 2천894만원을 기록해 전국 평균(3천239만원)보다 345만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서울(5천891만원)에 비해서는 3천만원이나 차이를 보였다.
김용구 남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사회적 기업 자체적으로 근로 여건을 향상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물품 우선 구매, 현장과의 소통·협력을 하면서 역량을 함께 키워나가는 것이 사회적 기업이 선순환하고 취약계층이 자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