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농업용수 오염사태
시·농어촌공사·농협만 논의
"확산 우려 눈치싸움" 비판
기관통보 제외 뒤늦게 '항의'
정부와 지역사회의 공동책임론이 불거진 한강하구 농업용수로 오염사태(2월 15일자 22면 보도)와 관련, 이 지역 쌀의 학교급식납품 중단 조치를 고양교육지원청(이하 교육청)이 까맣게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고양시와 한국농어촌공사·농협이 교육청을 배제한 채 대책을 논의, 사태확산을 우려해 눈치싸움만 벌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16일 교육청 측은 "지역 쌀 급식 납품중단과 관련해 어떠한 기관으로부터도 연락을 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현재 교육청은 관내 학교급식행정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지만 뒤늦게 지역 용수로 오염문제와 쌀 납품중단 사실을 인지하고 시 측에 기관통보가 없었던 점을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양지역 4개 단위농협에서 수매한 쌀이 하나의 포장으로 유통되는 송포농협 쌀은 지난 2015년 2학기부터 고양시 모든 초·중·고·특수학교 162개교에 공급되고 있다. 언론보도 이후 시는 송포농협 쌀의 급식납품을 전면 중단하고 유해성 검사에 돌입했다.
또 용수로 오염이 가장 심각한 덕이동 일대 쌀은 올해 학교급식 납품에서 아예 제외했다.
신학기를 앞둔 시기에 학생급식 문제를 놓고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에도 시는 그동안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협하고만 대책회의를 해왔다.
중학생 자녀들 둔 한모(46·가좌동)씨는 "아이들 먹거리 이슈는 매우 민감한데 유해성 여부를 떠나 쌀이 생육하는 데 그런 환경이 제공됐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며 "당장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10~20년 후에 아이들 몸에 어떤 영향을 줄지 누구도 장담 못 하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
또 양모(51·구산동)씨는 "시 입장에서는 굳이 사태를 키우고 싶지 않았겠지만, 교육청과 기관 대 기관으로 향후 대책과 추진방향 등을 협의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쌀 유해성 여부가 확인된 후에 교육청에도 알리려 했다"고 해명했다.
고양/김재영·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고양쌀 급식납품 중단 '교육청만 몰랐다'
입력 2017-02-16 22:37
수정 2017-02-16 22: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2-17 2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