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절 태극기
삼일절을 앞두고 지방자치단체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단체들이 '태극기 집회'를 열고 있어 고심에 빠졌다. 자칫 태극기 사용이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8일 서울 강북구청 인근 도로에 태극기가 내걸려 있다. /연합뉴스

삼일절을 앞두고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태극기 사용 문제로 고민에 빠졌다. 올해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단체들이 '태극기 집회'를 열고 있어 자칫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광주시는 내달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98주년 삼일절 기념식을 열고 옛 전남도청 앞 '민주의 종'에서 독립유공자 후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타종식을 한다.

타종식을 끝낸 뒤에는 원래 태극기를 흔들며 민요 '아리랑'을 부를 계획이었다.

그러나 광주시는 '태극기 집회' 오해 소지가 있다며 참석자에게 태극기를 나눠주지 않기로 했다. 태극기는 실내행사로 진행하는 본 행사에서 만세삼창 할 때만 지급한다.

충남 천안시가 이달 25일 신부문화공원에서 연 '만세 플래시몹' 행사에서도 태극기는 등장하지 않았다. 참석자들은 태극기 대신 카드섹션으로 태극기를 형상화했다.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태극기를 흔들던 장면도 볼 수 없었다. 주말마다 태극기 집회가 열리는 상황에서 자칫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종로구는 삼일절 기념식에 포함된 '태극기 행진' 준비 과정에서 한때 태극기 대신 다른 상징물 사용을 고민했다.

남인사마당을 출발해 타종 행사가 열리는 보신각까지 약 600m를 행진하는 행렬은 참석자 전원이 손에 태극기를 들고 흔들며 3·1 만세운동을 재현한다.

구 관계자는 "태극기가 아닌 다른 상징물 사용도 고민했지만 결국 만세운동 재현 의미를 살리려 태극기를 사용하기로 했다"며 "시민들이 태극기 물결행진을 '태극기 집회'의 태극기와 동일시하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