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야심작인 웨일 브라우저가 공개됐다.
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버튼(웨일 스페이스)을 누르자 화면이 둘로 분활된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한 모니터에서 현재 웹사이트상에서 링크가 분할된 한쪽창에 노출된다.
특히 모바일 보기를 화면 모바일 페이지로 클릭된 링크가 노출돼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했다.
화면이 두 개로 나뉜 탓에 웹사이트 일부가 보이지 않기도 했지만 중앙의 분할선을 좌우로 움직여 잘린 화면을 살려낼 수 있어 불편은 없었다.
14일 네이버가 오픈 베타 버전(공개 시범판)으로 공개한 웹 브라우저 '웨일'(Whale·고래)은 사용자가 활용도 높은 새로운 기능을 대거 탑재했다.
디자인과 속도 면에서도 네이버가 장기간 연구개발(R&D)을 통해 얻어낸 결과물에 일단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다.
구글 크롬이나 익스플로어에 탑재된 번역기능 편리하게 적용됐다. 특정 단어를 마우스로 긁으면 바로 '퀵서치' 기능이 구현돼 단어를 검색하거나 즉석 번역을 할 수 있다.
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버튼(웨일 스페이스)을 누르자 화면이 둘로 분활된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한 모니터에서 현재 웹사이트상에서 링크가 분할된 한쪽창에 노출된다.
특히 모바일 보기를 화면 모바일 페이지로 클릭된 링크가 노출돼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했다.
화면이 두 개로 나뉜 탓에 웹사이트 일부가 보이지 않기도 했지만 중앙의 분할선을 좌우로 움직여 잘린 화면을 살려낼 수 있어 불편은 없었다.
14일 네이버가 오픈 베타 버전(공개 시범판)으로 공개한 웹 브라우저 '웨일'(Whale·고래)은 사용자가 활용도 높은 새로운 기능을 대거 탑재했다.
디자인과 속도 면에서도 네이버가 장기간 연구개발(R&D)을 통해 얻어낸 결과물에 일단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다.
구글 크롬이나 익스플로어에 탑재된 번역기능 편리하게 적용됐다. 특정 단어를 마우스로 긁으면 바로 '퀵서치' 기능이 구현돼 단어를 검색하거나 즉석 번역을 할 수 있다.

즐겨찾기와 비슷한 '밸리'(Belly·배꼽)이라는 생소한 이름의 상단 버튼도 눈길을 끈다. 눈여겨본 기사·동영상·쇼핑목록·글 등을 스크랩해 나중에 다시 찾아볼 수 있는 기능이다.
특히 선호하는 콘텐츠를 유형별로 정리할 수 있고 각각 메모를 달 수도 있어 사용자의 스크랩 정리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밸리는 '고래(웨일)의 배꼽에 모든 콘텐츠가 모인다'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웨일 모바일 버전이 나오면 스마트폰과 PC를 서로 연동해 관리할 수 있어 참고 자료 수집 등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브라우저 우측에 생성되는 '사이드바' 기능도 눈길을 끌었다.
사이드바에는 세계시계·단위 변환기·번역기·음악플레이어·메모장 등 회사원이나 학생 등 컴퓨터 작업자들에게 사용도가 높은 기능이 한 곳에 모여 있다.
이중 번역기는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번역기인 '파파고'를 써 문장이 기존 번역기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느낌이다.

아직 파파고가 베타버전이라 1회 번역에 200자 분량이라는 제한이 걸려 있지만,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면 해당 제한이 풀릴 것이라고 네이버 관계자는 전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깔끔함과 부드러운 색채를 강조해 구글 크롬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엣지의 중간 정도 느낌이었다.
브라우저 실행 속도 면에서도 MS '엣지'나 구글 '크롬' 등에 비해 밀리지 않는다는 평가다. 오히려 일부에서는 더 빠르고 최적화된 느낌이라는 사용자도 나오고 있다.
사용자들의 인터넷뱅킹이나 쇼핑 결제도 문제없이 실행된다.
네이버는 웨일을 플랫폼(종합 서비스 공간)으로 꾸민 다는 계획이다. 게임·번역·화상 회의·동영상 방송 등의 다양한 보조 SW를 깔아 쓰는 다목적 서비스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웨일은 구글 크롬과 기반 기술이 '크로니움'으로 같다. 구글 크롬용 SW를 만든 개발사는 이 때문에 같은 SW를 웨일 웹 스토어에도 쉽게 내놓을 수 있다.
웨일은 네이버 플랫폼인 만큼 주소창에 키워드를 넣는 '주소창 검색'도 네이버 검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웹 브라우저 설정에서 주소창 검색을 다음·구글 등 타사 서비스로도 변경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미 많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처럼 쓰고 있는 '네이버' 앱과 별도로 웨일 앱을 출시할 계획이다.
/박주우기자 neojo@kyeongin.com
네이버는 웨일을 플랫폼(종합 서비스 공간)으로 꾸민 다는 계획이다. 게임·번역·화상 회의·동영상 방송 등의 다양한 보조 SW를 깔아 쓰는 다목적 서비스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웨일은 구글 크롬과 기반 기술이 '크로니움'으로 같다. 구글 크롬용 SW를 만든 개발사는 이 때문에 같은 SW를 웨일 웹 스토어에도 쉽게 내놓을 수 있다.
웨일은 네이버 플랫폼인 만큼 주소창에 키워드를 넣는 '주소창 검색'도 네이버 검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웹 브라우저 설정에서 주소창 검색을 다음·구글 등 타사 서비스로도 변경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미 많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처럼 쓰고 있는 '네이버' 앱과 별도로 웨일 앱을 출시할 계획이다.
/박주우기자 neoj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