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군 교동도가 '평화와 통일의 섬'으로 개발된다.
행정자치부는 28일 교동도 공동체 시장 부지에서 '평화와 통일의 섬 교동도 프로젝트' 협약식을 개최햇다.
북한과 3.2㎞거리에 있는 접경지역인 교동도는 한국전쟁 당시 황해도 주민 3만여명이 배를 타고 건너와 피난살이를 한 섬이다.
현재에는 100여명의 실향민이 대룡시장 인근에 모여살고 잇다.
행자부는 주민들이 사업을 발굴하면 국민디자인단이 재능 기부로 이를 구체화하고 기업과 정부가 재정·행정적으로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관광 안내실과 갤러리, 영화관 등으로 활용될 '교동 제비집'이 이달 준공되고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공동체시장도 5월부터 열리게 된다.
대룡시장도 정비되고 기존 농로를 활용한 자전거길과 평화 나들길 39㎞가 2018년까지 조성된다.
이와 함께 철책선, 망향대, 연산군 유배지, 박두성 생가, 교동읍성 등 교동도의 자원을 연계한 이야기거리(스토리텔링)도 인천관광공사와 협업해 개발하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28일 교동도 공동체 시장 부지에서 '평화와 통일의 섬 교동도 프로젝트' 협약식을 개최햇다.
북한과 3.2㎞거리에 있는 접경지역인 교동도는 한국전쟁 당시 황해도 주민 3만여명이 배를 타고 건너와 피난살이를 한 섬이다.
현재에는 100여명의 실향민이 대룡시장 인근에 모여살고 잇다.
행자부는 주민들이 사업을 발굴하면 국민디자인단이 재능 기부로 이를 구체화하고 기업과 정부가 재정·행정적으로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관광 안내실과 갤러리, 영화관 등으로 활용될 '교동 제비집'이 이달 준공되고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공동체시장도 5월부터 열리게 된다.
대룡시장도 정비되고 기존 농로를 활용한 자전거길과 평화 나들길 39㎞가 2018년까지 조성된다.
이와 함께 철책선, 망향대, 연산군 유배지, 박두성 생가, 교동읍성 등 교동도의 자원을 연계한 이야기거리(스토리텔링)도 인천관광공사와 협업해 개발하게 된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