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슬링 등 창단기피·해체 부채질
예산문제 체육회 떠넘기기 '의심'


경기도내 31개 시군 체육회와 가명경기단체들은 최근 도교육청의 '경기도형 학교운동부 육성' 정책에 지역 실정을 고민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런 불만이 제기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 여건과 각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교육청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해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활체육 저변이 넓지 않은 종목들에 대한 활성화 방안은 고려하지 않고 클럽스포츠 중심으로 개편을 단행할 경우 소위 비인기 종목이라고 불리는 세팍타크로, 철인3종, 레슬링 등과 같은 종목들은 선수 육성을 할 수 없어 해체 밖에 선택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특히 신설학교들이 학교운동부 창단을 기피하는 상황 속에 도교육청에서 클럽스포츠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할 경우 운동부 운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학교에서 연쇄적으로 해체를 선언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초·중·고, 실업팀으로 이어지는 선수 육성 시스템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일고 있다.

일선 시·군체육회는 도교육청이 지역 체육계와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크다.

실제 도교육청은 학교운동부 육성 방안을 모색하며 지역 체육회, 지역 체육인들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비롯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도내 체육인들도 학생 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이 필요하다는 부분에는 공감하지만 일반 학생과 전문 체육인의 길을 걷는 학생들의 차이가 무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전체 학생에게 적용하는 정책 보다는 전문 체육과 동호회 성격의 팀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전문적으로 운동을 하는 선수와 종목 특성에 맞는 방안이 무엇인지 세부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A지역 체육회 관계자는 "2년 전 C지역 교육지원청에서 육상부를 창단하려고 교육장이 교장들을 찾아 다니며 창단을 독려했지만 한 곳도 창단하지 않고 오히려 해체를 했던 일이 있다. 각 학교들이 현재 운영하고 있는 운동부도 해체하고 싶어하는데 도교육청이 더 부채질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다른 지역 체육회 관계자는 "예산에 대한 부분은 이야기 하지 않고 정책적인 변화만 밝히는 건 예산 문제는 지역 체육회로 떠넘기려고 하는 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장운동경기부 지원 예산을 줄이는 상황에 좋은 선수까지 지역에서 나오지 않으면 직장운동경기부 운영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종화기자 jh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