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소 15~20명 추가로 옮겨와
폐쇄대상 외형 오히려 키워
업소 증가 80여곳 불법영업
수년간 늦어진 도시정비
주변 지가 3~4배나 상승
업주들 보상비만 더 늘어
수원역 일대 성매매업소 집결지(집창촌)에 올해 초 재개발에 따른 강제철거로 폐쇄된 '청량리 588'의 성매매 여성들과 업주들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원시의 지지부진한 도시환경정비계획에 점진적으로 철거·폐쇄돼야 할 수원역 집창촌이 오히려 확대 운영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8일 수원시 및 한터전국연합 등에 따르면 최근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일대 집창촌에 기존 청량리에서 성매매 업소를 운영하던 업주 7명이 옮겨 와 자리를 잡았다. 이들 업주가 평균 2~3명의 성매매 여성을 고용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기존 성매매 종사자 수 200여명의 10% 수준인 최소 15~20명 이상이 추가로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불법이자 철거돼야 할 집창촌의 외형적 규모가 오히려 커진 셈. 감소 추세였던 성매매 업소 수도 덩달아 늘어났다. 지난해 초 90여곳 운영됐던 이곳의 성매매 업소는 지난해 말 단속 강화 등으로 70여곳으로 줄었다가 청량리에서 이전해 온 이들로 최근 80여곳으로 다시 증가했다.

지난 3월 청량리에서 수원역으로 옮겨 온 성매매 업주 박모(58)씨는 "20년간 청량리에서 업소를 운영하다가 지난 3월 아가씨 2명과 함께 이전해 왔다"며 "비어 있는 유리방(성매매 업소)을 보증금 2천만원, 월세 350만원에 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원시는 지난 2009년부터 성매매방지협의회를 열고 수원역 집창촌에 대한 정비계획을 추진했으나, 지지부진한 진행에 지난달에서야 '2020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재개발에 대한 사실상 첫발을 내디뎠다.
특히 수년간 늦어진 도시정비에 수원역 집창촌 일대 지가는 3~4배 상승, 이 기간 불법 성매매로 이득을 취해 이곳의 토지를 사들인 업주들의 보상비만 늘어난 상태다. 여기에 올해 초 성매매 업주들이 추가 유입되면서 생계비 보장 등 보상비가 더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수원시는 이들 업주에 대한 보상 및 지원여부 등을 검토했다가 인권단체들의 반발에 부딪힌 바 있다.
이에 수원시 관계자는 "이제 막 집창촌 정비를 고시하고 세부계획을 세워가는 중"이라며 "다음 달 성매매 여성 재활센터를 열어 재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 종사자 수를 줄이고 지원 조례 제정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