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 임용인원 대규모 축소로 이른바 '임용절벽'이 교육계 안팎의 논란(8월 7일자 22면보도)이 되는 가운데 기간제교사 등의 정규직화를 둘러싼 갈등도 고조되고 있다.
교육당국은 임용절벽 문제와 비정규직 정규직화 문제는 무관하다고 설명하지만, 규모가 정해진 정규직 일자리를 놓고 다투는 '제로섬 게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9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간제 교사 및 영어회화전문강사(영전강)·스포츠전문강사(스전강)의 정규직 전환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교육부가 8일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논의에 착수한 것은 교원 투명하고 공정한 임용고시를 통과한 교사나 임용고시생들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어 기간제교사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 단체는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선언하고도 정작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서는 4만6천여명의 기간제교사를 비롯해 학교 비정규직 강사들을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교원 임용 규모 축소에 항의하는 교대 교수와 학생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은 오는 11일을 총궐기의 날로 정하고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 계획이다.
집회에는 전국 10개 교대 학생들과 한국교원대 등 3개 대학 초등교육과 학생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교육당국은 임용절벽 문제와 비정규직 정규직화 문제는 무관하다고 설명하지만, 규모가 정해진 정규직 일자리를 놓고 다투는 '제로섬 게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9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간제 교사 및 영어회화전문강사(영전강)·스포츠전문강사(스전강)의 정규직 전환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교육부가 8일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논의에 착수한 것은 교원 투명하고 공정한 임용고시를 통과한 교사나 임용고시생들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어 기간제교사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 단체는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선언하고도 정작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서는 4만6천여명의 기간제교사를 비롯해 학교 비정규직 강사들을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교원 임용 규모 축소에 항의하는 교대 교수와 학생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은 오는 11일을 총궐기의 날로 정하고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 계획이다.
집회에는 전국 10개 교대 학생들과 한국교원대 등 3개 대학 초등교육과 학생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