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1401000926800042461

전체 학교의 9.6%만 혜택
취약계층 학생 지원 사각
서울·인천 등 절반 웃돌아
전국 최하위 수준 불명예


경기도내 초·중·고교 교육취약계층 학생들이 타 시·도에 비해 현저히 적은 지원을 받아 사각지대에 놓일 위기에 처했다.

1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저소득가정 자녀 등 교육취약계층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진로·진학 등을 돕기 위해 교육복지우선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사업 대상 학교에 교육·복지·문화 등 분야별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교육의 기회균등을 꾀하고,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복지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78억원을 투입해 초교 104곳, 중학교 92곳, 고교 21곳 등 총 217개 학교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특정 취약 학생을 중심으로 지원할 경우 낙인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에 올해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하겠다는 취지로 지난해보다 대상 학교를 50여곳이나 늘렸다.

하지만 타 광역 시·도교육청과 비교하면 여전히 초라한 수준이다. 도내 전체 학교(2천360여곳)의 9.6%만이 사업을 지원받고 있는 것.

1천300여개 학교가 위치한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무려 951개교(초 509, 중 359, 고 83)를 지원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625개교 중 351개교(초 210, 중 139, 고 2), 대구시교육청도 451개교 중 335개교(초 214, 중 121)를 지원해 절반을 크게 웃돌고 있다.

경기지역은 전라북도교육청 766개교 중 245개교(초 138, 중 102, 고 5), 인천시교육청 506개교 중 261개교(초 139, 중 103, 고 19)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는 등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그래픽 참조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지역은 지자체와 연계해 운영하는 교육복지 사업이 타 시·도에 비해 많다"며 "점차 대상 학교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