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위탁 친환경 인증과 달리
소비자 참여 깐깐한 점검 주목
수시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도
신뢰 확보 17년된 상표 재조명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친환경 인증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아진 가운데, 경기도지사가 품질을 보증하는 'G마크'가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 제도 도입 17년 만에 재조명을 받고 있다.

민간기관에 인증을 맡겨 허술한 관리를 부추긴 정부의 친환경 인증제도와 달리, G마크 인증은 소비자가 인증단계부터 사후관리까지 직접 참여하는 등 까다로운 심사를 거친다는 점에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도에 따르면 G마크는 경기도지사가 식품의 우수한 품질을 인증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농가소득을 높인다는 취지로 지난 2000년 도입된 인증제도다. 안전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갖춘 경기도의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등에 부여되는 일종의 상표인 셈이다. 현재 도내 279개 농가·업체의 1천500여 개 품목에 G마크가 부여됐다.

G마크의 가장 큰 특징은 인증 절차가 상당히 까다롭다는 점이다. 인증 남발로 인해 신뢰성에 금이 간 친환경 인증 방식과 대비돼 G마크가 주목받는 이유다.

G마크는 친환경인증,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등 국가인증을 받은 식품에 한해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 데다 농산물의 경우 잔류 농약 허용치의 50% 이하, 축산물은 호르몬 미검출 등의 까다로운 조건도 충족해야 한다.

잔류 농약 검사 등 안전성 관련 검사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과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 등 도내 공공기관이 전담해 전문성을 높였다.

특히 공무원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참여하는 깐깐한(?) 현장점검을 통과해야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소비자단체 소속 회원들은 소비자의 시선에서 위생과 안전성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며 G마크의 신뢰성을 지켜나가는 데 일조하고 있다.

소비자시민모임 성남지부 이경아 사무국장은 "아무리 사전에 국가인증을 받은 곳이라고 해도, 우리가 직접 가서 보면 허점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땐 단호하게 부적합 판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며 "인증 대상 업체나 농가에서 종종 너무 까다롭다는 불만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먹거리에 관한 부분이다 보니 엄격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본다. 그게 우리의 역할 아니겠느냐"고 밝혔다.

인증 획득 이후에도 위생·안전·품질 등에 있어 정기적으로 관리가 이뤄지며, 2년에 한 번씩 인증 갱신 과정도 거친다. 소비자단체는 평소 수시로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갱신 점검 시에도 현장에 동행하는 등 인증부터 사후관리까지 함께한다.

도 관계자는 "시민단체 회원들이 G마크 인증 과정 전반에 함께 한다는 건 G마크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라며 "G마크가 붙은 식품은 도민들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도록 신뢰를 이어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성규·신지영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