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301000920000042821.jpg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한국유치원총연합회가 연 '유아교육 평등권 확보와 사립유치원 생존권을 위한 유아교육자 대회'에 참가한 시립유치원 원장들이 '유아학비 공ㆍ사립 차별없이 지원, 사립유치원 운영의 자율성 보장' 등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한국유치원총연합회는 오는 18일과 25∼29일 두 차례에 걸쳐 휴업을 강행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전국 사립유치원 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국공립유치원 확대 정책 중단과 사립유치원 재정지원 강화를 주장하며 오는 18일과 25∼29일 휴업을 예고한 가운데,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3일 성명을 통해 "굳이 불법성을 따지지 않더라도 당장 휴업의 피해가 아이들과 학부모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며 "휴업을 철회하고 정당한 요구를 통해 공공성과 투명성이 보장된 유아교육기관으로 거듭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한유총은 감사는 거부한 채 묻지마식 재정지원을 요구하며 휴업을 강행하려 한다"며 "감사에 당당히 임하고 자기성찰을 통해 투명하고 민주적인 교육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국공립유치원 1인당 지원금이 월 98만원, 사립유치원 29만원이라고 주장하지만, 단순 비교는 잘못됐다"며 "산정 기준이 모호한 데다 국공립 지원금액에는 인건비, 시설비, 학급운영비 등도 포함된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한국국공립유치원교원연합회도 공동성명에서 "이번 집단휴업은 법이 정한 임시휴업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휴업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원금 확대를 요구하면서 감사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모순된 주장"이라며 "특히 객관적이지 않은 기준으로 국공립 대 사립유치원 지원금을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