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사 "훼손" 지적 '이전' 수면위
9월 중순까지 기술적 검토 답변불구
KT '사실상 불가능' 무게 '무응답'
道 역시 대책 못내놔 논의만 반복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남한산성 내 흉물로 자리 잡은 KT 중계소의 이전(6월 16일자 1면 보도) 논의가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이번에도 헛구호에 그칠 전망이다.
KT 측은 사실상 이전이 불가능한 쪽으로 방향을 설정한 데다 경기도 역시 이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남한산성 신남성 내 동돈대에 위치한 중계소는 지난 1965년 처음 설치됐으며 현재까지 국가기간망·재난망·보안망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재 훼손 우려가 제기되면서 수년 전부터 문제가 불거져 왔다.
지난 2011년 국정감사 당시 김부겸 의원은 "송신탑과 중계소가 남한산성 외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한 바 있으며, 이후 2014년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고 이듬해 신남성 일대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이전 논의는 더욱 본격화됐다.
특히 문화재 보존 차원에서 중계소를 이전한 뒤 원형 복원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졌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해결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최근 남경필 경기지사가 이 문제를 거론하면서 이전 논의는 수년 만에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 6월 남한산성 현장을 방문한 남 지사는 KT 측에 "이전이 가능한지 기술적 검토를 해 달라"고 제안했으며, 이에 당시 현장에 있던 KT 관계자는 "9월 중순까지 기술적 검토를 해보겠다"고 답한 바 있다.
하지만 KT 측은 지금까지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남한산성 내 송신탑은 공영방송을 비롯해 각종 국가 보안용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절차상으로도 이전을 강행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만약 이전 협의가 된다 해도 100억 원에 달하는 이전 비용 문제를 놓고도 진통이 따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때문에 KT 측은 사실상 중계소 이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도 역시 KT 측 입장에 대해 별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중계소 이전 문제는 이번에도 논의 선에서 그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국회뿐 아니라 경기도의회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문화재청에서도 이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9월 중순까지 기술적 검토 답변불구
KT '사실상 불가능' 무게 '무응답'
道 역시 대책 못내놔 논의만 반복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남한산성 내 흉물로 자리 잡은 KT 중계소의 이전(6월 16일자 1면 보도) 논의가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이번에도 헛구호에 그칠 전망이다.
KT 측은 사실상 이전이 불가능한 쪽으로 방향을 설정한 데다 경기도 역시 이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남한산성 신남성 내 동돈대에 위치한 중계소는 지난 1965년 처음 설치됐으며 현재까지 국가기간망·재난망·보안망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재 훼손 우려가 제기되면서 수년 전부터 문제가 불거져 왔다.
지난 2011년 국정감사 당시 김부겸 의원은 "송신탑과 중계소가 남한산성 외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한 바 있으며, 이후 2014년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고 이듬해 신남성 일대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이전 논의는 더욱 본격화됐다.
특히 문화재 보존 차원에서 중계소를 이전한 뒤 원형 복원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졌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해결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최근 남경필 경기지사가 이 문제를 거론하면서 이전 논의는 수년 만에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 6월 남한산성 현장을 방문한 남 지사는 KT 측에 "이전이 가능한지 기술적 검토를 해 달라"고 제안했으며, 이에 당시 현장에 있던 KT 관계자는 "9월 중순까지 기술적 검토를 해보겠다"고 답한 바 있다.
하지만 KT 측은 지금까지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남한산성 내 송신탑은 공영방송을 비롯해 각종 국가 보안용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절차상으로도 이전을 강행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만약 이전 협의가 된다 해도 100억 원에 달하는 이전 비용 문제를 놓고도 진통이 따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때문에 KT 측은 사실상 중계소 이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도 역시 KT 측 입장에 대해 별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중계소 이전 문제는 이번에도 논의 선에서 그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국회뿐 아니라 경기도의회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문화재청에서도 이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