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차례 개통이 지연된 '소사~원시 복선전철선'과 관련(10월 11일자 20면 보도) 안전성을 입증해야 할 민간 사업자 (주)이레일 측이 시험운행을 가동할 인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면서, 일부 시험 대상 전동차가 선로에 장기간 방치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15일 이레일 등에 따르면 지난달 6일 해당 노선의 안전성 입증을 위해 3편성(4량)을 본선 궤도에 반입, 각종 검수를 진행하는 시험운행에 나섰다.
시험운행은 사업자인 이레일 측이 철도법에 따라 해당 노선에 대해 5개월간 시험운행을 해 안전성을 입증, 건설비용을 보전 받기 위한 사전 법적 행위다. 그러나 최근 시험 운행돼야 할 전동차 일부가 선로에 장시간 세워지는 등 시험 운행이 사실상 지연되고 있다.
이는 시험운행에 나선 이레일 측이 기관사 등 운영 인력을 직접 고용하지 않은채 코레일 측의 공적 인력을 지원받았지만, 지원된 인력이 부족해 발생한 사태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더욱이 일부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한 행사성 운행 또한 시험운행 지연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 일부 전동차는 지난달 말께 정치인들의 행사성 시험 운행 후 장시간 선로에 세워졌다.
여기에 사업자인 이레일 측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월간시험운행계획' 또한 세부적인 계획이 미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체 인력 확보와 세부적인 시험운행 계획 등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방치된 열차를 목격한 한 시민은 "안전성 증명을 위해 시험운행을 돌입했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전동차가 며칠째 선로에 세워져 있다"며 "전동차를 운행하지 않고 안전성 입증이 가능한가, 안전성에 의문이 든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레일 측도 시험운행 지연을 인정했다.
이레일 관계자는 "정치인 등 의도하지 않은 방문과 사진 촬영 요청 등이 많아 시험운행이 예상보다 조금 미뤄지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 개통할 수 있게끔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영래·배재흥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