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청와대·정부가 국회에서 관련법이 표류 중인 노동시간 단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정청 회동을 12일 가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라며 국회에서 이 문제를 매듭지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이날 회동에는 민주당에서는 우원식 원내대표·김태년 정책위원회 의장·홍영표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등이, 청와대에서는 장하성 정책실장·홍장표 경제수석·반장식 일자리수석 등이, 정부에서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당정청은 회동에서 노동시간 단축 문제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조속한 처리를 위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견을 드러내며 반대하는 당내 의원들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

환노위는 지난 정기국회에서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여러 차례 고용노동소위원회를 열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주당 노동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데에는 대체로 의견이 모였지만 휴일근무 중복할증 문제를 놓고 여당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기 때문이다.

홍영표 위원장과 한정애 의원 등은 중복할증 없이 현행 규정대로 50%를 할증하는 안에 야당과 잠정 합의를 이뤘지만 이용득·강병원 의원 등은 강하게 반대했다.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빨리 합의되면 올해 안에 (근로기준법 개정안을)처리하는 것이고 안 되면 늦어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당내 반발에 대해서는 "특정사안에 찬반이 늘 있는 것이고 그걸 조정하고 합의하는 게 정치"라고 즉답을 피했다.

/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