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영단주택 일부를 그대로 남기거나, 반환 예정인 부평미군기지로 옮겨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영단주택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의 병참기지화를 위해 건설한 군수산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의 숙소로 이용됐다. 사진은 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영단주택 모습.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부평구 산곡동 영단주택 일부를 부평미군기지 부지로 옮겨 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2일 부평구 등에 따르면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산곡동 영단주택 일부를 그대로 남기거나, 반환 예정인 부평미군기지로 옮겨야 된다는 주장이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
영단주택은 일본에서 도시민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되기 시작한 주택유형이지만, 일제강점기엔 일제가 조선의 병참기지화를 위해 건설한 군수산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평구 산곡동에는 800호가 건설됐으며 조병창 근로자들의 숙소로 활용됐다. 현재 건물은 노후화 돼 있어 절반 정도가 공실인 상태다. 영단주택은 2013년부터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시행인가를 받았으나 착공까지는 관리처분인가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 구는 착공까지 1년 안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에서는 재개발이 본격화되기 전 보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평구에 사는 민경선씨는 "지역에서 영단주택 일부를 떼어 내 반환예정인 부평미군기지로 이전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며 "대규모로 한국인이 살았을 뿐 아니라, 당시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보전해야 한다. 이를 부평구 등에 공식적으로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재능대학교 손장원 교수(실내건축과)는 "이 건축물은 한국인이 설계와 감리를 맡았고, 온돌이 들어가 있는 등 한국형으로 지어졌다"며 "역사의 흔적을 지니고 있는 건축물이기 때문에 보존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예산 등 현실적인 문제가 많아 공론화 과정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평구 관계자는 "영단주택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고 판단해서 재개발 사업이 착공되기 전에 전문가 자문을 받아 관련 기록을 남기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일부 보존 등에 대해선 예산이 추가로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추후 논의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